북한지역 의병투쟁 / 전기의병의 확대 / 한말 전기의병 제9권 한말 전기의병 / 제4장 전기의병의 확대 1. 경기지역 의병 2. 강원지역 의병 3. 충청지역 의병 4. 경상지역 의병 5. 호남지역 의병투쟁 6. 북한지역 의병투쟁 6. 북한지역 의병투쟁 북한지역에서의 을미의병은 을미사변 직후에 강계에서 시작되었다. 1895년 11월 단발령 공포 직전 김이언..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2014.01.16
호남지역 의병투쟁 / 전기의병의 확대 / 한말 전기의병 제9권 한말 전기의병 / 제4장 전기의병의 확대 1. 경기지역 의병 2. 강원지역 의병 3. 충청지역 의병 4. 경상지역 의병 5. 호남지역 의병투쟁 6. 북한지역 의병투쟁 5. 호남지역 의병투쟁 전기의병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을 때 호남의병은 비교적 늦은 시기에 봉기하였으며, 그것도 다른 지..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2014.01.16
경상지역 의병 / 전기의병의 확대 / 한말 전기의병 제9권 한말 전기의병 / 제4장 전기의병의 확대 1. 경기지역 의병 2. 강원지역 의병 3. 충청지역 의병 4. 경상지역 의병 5. 호남지역 의병투쟁 6. 북한지역 의병투쟁 4. 경상지역 의병 1. 안동의병 1) 향회 실시와 의진의 결성 을미사변의 소식이 안동일대에 전해진 것은 사건이 발생한 지 여러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2014.01.14
충청지역 의병 / 전기의병의 확대 / 한말 전기의병 제9권 한말 전기의병 / 제4장 전기의병의 확대 1. 경기지역 의병 2. 강원지역 의병 3. 충청지역 의병 4. 경상지역 의병 5. 호남지역 의병투쟁 6. 북한지역 의병투쟁 3. 충청지역 의병 1. 제천의병 1) 장담 향음례와 지평의진의 결성 1894년 6월의 갑오변란 후 부일개화파들에 의해 정권이 장악되어..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2014.01.14
경기, 강원지역 의병 / 전기의병의 확대 / 한말 전기의병 제9권 한말 전기의병 / 제4장 전기의병의 확대 1. 경기지역 의병 2. 강원지역 의병 3. 충청지역 의병 4. 경상지역 의병 5. 호남지역 의병투쟁 6. 북한지역 의병투쟁 1. 경기지역 의병 1. 이천의병 이천의병은 단발령 공포 다음날인 1895년 12월 31일음 11월 16일 봉기하였다. 서울에 있던 김하락金..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2014.01.14
전기의병의 개시 / 한말 전기의병 제9권 한말 전기의병 / 제3장 전기의병의 개시 1. 유림세력의 의병 준비 2. 1894년 안동의병의 봉기 3. 상원의병의 봉기 4. 유성의병의 전개 1. 유림세력의 의병 준비 조선 말 위정척사론은 주자학의 척이단과 화이론에 근간을 두고 있다. 이 위정척사론은 동양적 세계관에 의해 서구 제국주의..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2014.01.13
전기의병의 배경 / 한말 전기의병 제9권 한말 전기의병 / 제2장 전기의병의 배경 1. 갑오변란과 을미사변 2. 변복령과 단발령 공포 3. 위정척사론과 학파의 형성 1. 갑오변란과 을미사변 1. 갑오변란 1884년 10월 갑신정변의 실패는 조선 내에서 개화파의 실각을 가져왔다. 이를 두고 일본 지식층 일각에서는 자의적인 평가를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2014.01.13
의병의 개념과 시기구분 / 한말 전기의병 제9권 한말 전기의병 / 제1장 의병의 개념과 시기구분 1. 의병의 개념 2. 한말 의병의 시기구분과 연구동향 1. 의병의 개념 한말 의병전쟁은 국권을 수호하기 위하여 일제의 침략에 무력항쟁한 민족운동을 말한다. 갑오변란과 청일전쟁을 전후하여 일제의 군사적 위협은 노골화되어 나타났..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2014.01.13
한말 전기의병 제9권 한말 전기의병 김상기 金祥起 충남대학교 사학과 졸업 한국학대학원 문학석사·박사 일본 와세다대학 방문교수 캐나다 UBC 방문교수 한국근현대사학회장 역임 현재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장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장 『한국독립운동의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2014.01.13
해방 이후 친일세력 처리와 반민특위 활동 / 일제의 친일파 육성과 반민족 세력 제8권 일제의 친일파 육성과 반민족 세력 / 제6장 해방 이후 친일세력 처리와 반민특위 활동 1. 친일세력 동향과 국내 정치세력의 인식과 대응 2. 반민특위의 활동 3. 반민특위·특별검찰부·특별재판부의 조직 4. 반민특위 활동과 방해 책동 5. 반민특위의 역사적 성격 1. 친일세력 동향과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2014.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