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수출입상품가격체계의 변동과 수출입무역
개항전기(1876~1894) 상품가격체계
개항후기(1895~1904)의 가격체계와 수출입무역
2. 개항후기(1895~1904)의 가격체계와 수출입무역
1895~1904년에 이르는 시기는 전시기와 달리 수출입 상품에 큰 변화가 있었다. 수출품은 역시 쌀과 콩을 중심으로 한 농업생산물이 주종을 이루었지만, 수입 자본제 상품은 금건金巾 위주에서 일본목면·씨이팅·방적사 등 다양한 형태를 띠었다. 영국산 금건金巾의 중계무역을 놓고 일본과 청국이 대립하던 단계에서, 일본산 섬유제품이 여전히 금건金巾의 중계무역을 위주로 하는 청국을 압도하면서 조선의 면포시장을 장악해 나갔던 것이다. 일본은 목면과 같은 완제품만이 아니라 반제품半製品인 방적사도 대량으로 수출함으로써 조선의 면업생산구조를 뒤바꾸어 놓았다.
〈표 22〉·〈표 23〉·〈표 24〉는 각 개항장별로 이 시기 대표적 무역상품의 수출입가액과 단가를 엔화가격과 한전가격으로 표시한 것이다. 이 표에서 먼저 주목할 점은 씨이팅의 경우 인천항만 표시되어 있다는 것이다. 부산과 원산에도 씨이팅의 수입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 양이 극히 적어 통계로 추출할 경우 단가에서 일관성을 얻기 어려워 표로는 구성하지 않았다. 청국상인이 영국과 미국제, 그리고 청국제 씨이팅을 들여오긴 했지만 대부분은 일본제품이었다. 양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생금건은 초기에는 인천이 후기로 갈수록 부산항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연도 | 생금건 | 방적사 | 씨이팅 | ||||||
수입액 (엔) | 단가(1반당) | 수입액 (엔) | 단가(1반당) | 수입액 (엔) | 단가(1반당) | ||||
일화 (엔) | 한전 (관) | 일화 (엔) | 한전 (관) | 일화 (엔) | 한전 (관) | ||||
1895 1896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1904 | 1,503,991 945,968 1,168,039 776,391 649,166 404,427 438,312 366,096 474,385 893,260 | 3.96 3.91 3.89 3.86 3.81 4.07 4.20 1.28 4.17 4.41 | 9.16 2.01 2.23 2.60 2.95 1.16 4.05 4.47 | 285,906 304,622 589,698 934,441 1,178,565 1,335,317 949,548 798,712 692,075 861,044 | 30.32 29.66 30.82 28.04 27.67 29.74 30.96 30.45 30.74 32.82 | 70,18 14.60 16.24 19.02 21.73 27.53 29.84 33.3 | 145,775 174,432 456,118 725,629 836,138 1,032,232 1,262,694 1,251,743 1,429,929 1,854,881 | 3.97 3.63 3.75 3.98 4.14 4.12 4.03 4.20 | 9.18 3.87 3.56 1.89 2.20 2.54 2.91 3.72 3.91 4.26 |
연도 | 일본목면 | 조선목면 | 한전시세 (할) | ||||||
수입액 (엔) | 단가(1반당) | 국내이입액 (엔) | 단가(1반당) | ||||||
일화 (엔) | 한전 (관) | 일화 (엔) | 한전 (관) | ||||||
1895 1896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1904 | 185,814 131,653 190,634 151,272 117,457 148,164 129,102 81,336 100,836 165,097 | 0.86 0.86 0.88 0.88 0.83 0.84 0.90 0.89 0.92 0.94 | 1.99 0.46 0.49 0.54 0.63 0.81 0.90 0.95 | 27,926 21,074 26,647 101,195 206,288 301,304 326,153 413,660 | 1.19 1.04 1.17 1.09 1.12 1.06 1.02 0.98 | 2.76 0.70 0.78 0.96 0.99 0.99 | 4.32 19.20 17.04 15.64 14.25 11.06 10.30 9.85 |
출전 :『通商彙纂』 각호.
비고 : 1895년 한전시세는 1~6월간 엽전가격, 이후는 백동화시세. 1902년 생금건은 통계착오로 보임.
연도 | 일본목면 | 조선목면 | 한전시세 (할) | ||||
수입액 (엔) | 단가(1반당) | 국내이입액 (엔) | 단가(1반당) | ||||
일화 (엔) | 한전 (관) | 일화 (엔) | 한전 (관) | ||||
1895 1896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1904 | 179,279 304,856 297,363 261,510 253,459 247,006 154,490 121,127 287,298 | 0.84 0.98 1.05 1.00 0.94 0.97 0.95 0.97 1.01 1.01 | 0.40 0.47 0.50 0.50 0.56 0.58 0.58 0.66 0.71 0.67 | 273,609 197,465 95,624 83,778 58,016 141,716 142,336 209,498 | 1.02 1.14 1.01 1.01 1.01 1.01 1.00 1.00 1.00 | 0.49 0.55 0.47 0.50 0.61 0.60 0.68 0.70 0.66 | 20.93 20.77 21.28 20.09 16.65 16.74 16.41 14.67 14.22 15.10 |
연도 | 생금건 | 방적사 | |||||
수입액 (엔) | 단가(1반당) | 수입액 (엔) | 단가(1반당) | ||||
일화 (엔) | 한전 (관) | 일화 (엔) | 한전 (관) | ||||
1895 1896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1904 | 506,867 572,000 882,362 545,196 601,833 705,336 630,118 423,443 677,891 | 3.34 3.80 4.02 3.46 3.65 3.67 3.98 4.65 4.03 3.73 | 1.59 1.83 1.89 1.72 2.19 2.19 2.42 3.17 2.83 2.47 | 35,874 122,207 142,734 124,178 247,401 161,724 152,684 90,168 188,800 | 30.12 31.75 38.36 31.40 26.96 28.39 31.38 31.29 32.91 30.89 | 14.39 15.28 18.02 15.63 16.20 16.96 19.12 21.33 23.14 20.46 |
비고 : 1900년 단가는 1~6월 평균.
연도 | 일본목면 | 조선목면 | 한전시세 (할) | ||||
수입액 (엔) | 단가(1반당) | 국내이입액 (엔) | 단가(1반당) | ||||
일화 (엔) | 한전 (관) | 일화 (엔) | 한전 (관) | ||||
1895 1896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1904 | 344,666 285,373 483,022 386,626 382,599 579,484 470,173 387,835 296,701 447,419 | 0.86 0.9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8 | 0.40 0.43 0.48 0.50 0.59 0.58 0.62 0.69 0.72 0.65 | 256,165 98,838 102,486 82,432 76,523 95,240 140,280 256,041 261,143 258,705 | 0.89 1.00 1.02 1.01 1.03 1.00 1.04 1.03 1.00 1.01 | 0.41 0.48 0.48 0.51 0.61 0.60 0.64 0.71 0.72 0.61 | 21.45 20.97 20.97 19.89 16.98 17.21 16.27 14.46 13.95 16.48 |
연도 | 생금건 | 방적사 | |||||
수입액 (엔) | 단가(1반당) | 수입액 (엔) | 단가(1반당) | ||||
일화 (엔) | 한전 (관) | 일화 (엔) | 한전 (관) | ||||
1895 1896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1904 | 531,396 208,520 327,546 266,146 217,004 173,015 423,552 419,497 376,835 341,303 | 3.54 3.44 3.45 3.26 3.50 3.50 4.15 4.21 4.21 4.26 | 1.65 1.64 1.64 1.64 2.06 2.03 2.55 2.91 3.02 2.58 | 73,187 31,940 53,055 60,129 38,815 65,302 60,776 56,253 51,430 48,773 | 36.12 35.77 36.49 42.86 36.04 39.43 38.15 37.38 37.65 38.49 | 16.84 17.06 17.40 21.55 21.22 22.91 23.45 25.85 26.99 23.36 |
비고 : 각종 통계에서 反과 匹이 혼용되어 기재된 사례가 많다. 특히 일본목면과 토포가 심하다. 보통 2反=1匹로 보지만 무역통계에서는 같은 단위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토포의 생산원가를 조사한 1898년의 기록에 의하면 생산자가 1필당 2엔 40전에 매각한다고 한다(『日韓通商協會報告』 31(1898.3), 46쪽). 여기서 인용한 무역통계의 단가는 필이든 반이든 모두 1엔 전후로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통계의 필은 반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목포는 단가가 거의 2엔에 육박하고 있어 그 경우의 필은 2반으로 환산해야 할 것이다.
인천항의 생금건은 청국상인이, 부산항은 일본상인이 수입을 주도했다. 인천항의 생금건 수입감소는 씨이팅의 증가 시기와 대체로 일치한다.
방적사의 수입량은 인천·부산·원산의 순이며 인천의 수입량은 다른 지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고 원산은 소량이다. 수입방적사는 거의 대부분이 일본제품이며 영국·미국·인도 등의 것도 일부 포함되나 그 양은 극히 적다. 일본제품은 주로 직포용, 영국제 등은 봉쟁용縫裁用이었다. 일본목면은 방적복면紡績木綿·모조목면模造木綿 등 몇 종류의 목면으로 구성되어 수입량은 원산이 가장 많고 다음이 부산·인천의 순이다. 註7) 모든 지역에 일관되게 규정할 수는 없지만 일본목면의 수입은 초기에는 증가하다가 후기로 갈수록 감소한다. 그리고 그 시기적 변화는 인천과 원산의 토포의 이입, 부산의 토포의 이출이 감소에서 증가로 변하는 때와 반비례한다. 일본목면과 토포의 수요자층이 대체로 일치하므로 일본목면의 수입감소는 바로 토포의 이입증가라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었다.
이상의 〈표 22〉·〈표 23〉·〈표 24〉과 개항장별 곡가를 토대로 재구성하여 1895년 이후의 곡물가격에 수입 면제품의 가격을 나눈 상대가격을 정리한 것이 〈표25〉이다. 註8) 이 표는 모든 곡물과 수입면제품의 상대가격을 구하지 않고 지역적 조건에 따라 대표적 상품을 서로 대립시켜 본 것이지만, 제시되지 않은 경우도 그 경향성은 동일하다. 여기서도 전시기와 마찬가지로 곡물의 가격조건이 수입 면제품의 그것보다 나아지고 있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연도 | 콩/일본목면 | 쌀/씨이팅 | 쌀/生金巾 | ||
인천 | 부산 | 원산 | 인천 | 부산 | |
1895 1896 1897 1898 1899 1901 1902 1903 1904 1905 | 4.42 4.89 5.31 6.01 6.37 5.80 5.04 5.29 5.45 7.03 | 2.35 2.46 3.08 3.27 4.34 3.92 3.19 3.56 4.00 5.12 | 3.65 4.77 4.97 5.50 6.33 5.82 5.16 5.81 6.20 6.68 | 1.46 1.68 2.08 2.61 1.86 1.80 1.78 2.38 2.48 2.36 | 2.17 1.84 2.27 3.50 2.29 2.50 2.04 2.01 2.84 3.46 |
비고 : 콩과 쌀은 1석당 엔화가격, 일본목면·씨이팅·생금건은 1反當 엔화가격.
연도 | 인천 | 부산 | 원산 |
1895 1896 1897 1898 1899 1901 1902 1903 1904 1905 | 3.18 4.06 4.01 4.46 4.06 4.46 4.92 6.74 | 1.94 2.12 3.22 3.25 4.03 3.79 3.45 4.02 5.17 | 3.52 4.30 4.88 5.44 6.12 5.65 4.97 5.66 6.21 7.13 |
연도 | 인천 | 부산 | 원산 |
1895 1896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1904 | 0.72 0.83 0.76 0.99 0.93 0.77 0.81 0.84 0.90 0.96 | 0.82 0.86 1.04 0.99 0.97 0.97 0.97 1.01 1.01 | 0.96 0.90 0.98 0.97 0.96 0.97 1.00 1.07 |
연도 | 인천 | 부산 |
1895 | 25.41 | 29.40 |
1896 | 28.49 | 27.85 |
1897 | 26.44 | 37.98 |
1898 | ||
1899 | ||
1900 | 27.17 | 28.24 |
1901 | 27.73 | |
1902 | 28.78 | 31.29 |
1903 | 30.04 | 32.90 |
1904 | 33.54 | 30.88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7장 개항 이후 민중의 존재형태와 대응, 노동자 계층의 변화/제2권 개항 이후 일제의 침략 (0) | 2013.01.14 |
---|---|
제7장 개항 이후 민중의 존재형태와 대응, 농민층의 동향과 자본주의적 관계의 성장/제2권 개항 이후 일제의 침략 (0) | 2013.01.14 |
제6장 수출입상품가격체계의 변동과 수출입무역, 개항전기(1876~1894) 상품가격체계/제2권 개항 이후 일제의 침략 (0) | 2013.01.11 |
제5장 곡물수출과 방곡령, 곡물수출의 성격/제2권 개항 이후 일제의 침략 (0) | 2013.01.11 |
제5장 곡물수출과 방곡령, 방곡령 실시의 사례와 원인/제2권 개항 이후 일제의 침략 (0) | 201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