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후기(1931~1945)의 독립운동
1930년대 국내독립운동
조선학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의 정착
해방 직전의 국내외 독립운동
해방 직전의 민중결사
일제말기의 정치사회단체
일제말기의 독립군
중경의 임시정부
8·15 해방과 독립운동 진영의 시련
5. 일제말기의 정치사회단체
국내에서는 정치사회단체가 합법적이든 비합법적이든 존재할 수 없었다. 종전기에는 민족적 성향이 다소라도 있는 여하한 단체도 있을 수 없었다. 따라서 해외의 정치단체가 주목 대상이 되겠으나 국내에도 경성콩그룹과 건국동맹이 잠시나마 있었고, 독립운동의 시각에서 볼 때 조선어학회 등의 문화단체도 의미가 있다.
해외의 경우는 연안의 독립동맹과 미주한족엽합위원회를 간단히 주목하는 것으로 줄이고 임시정부와 광복군, 그리고 독립동맹의 조선의용군에 대해서는 별도의 항목을 마련하여 살피기로 한다.
1. 경성콩그룹
민족진영의 많은 인사가 자치론자로 전락해 갈 때 공산진영의 지도층에서도 역시 좌절과 전향으로 변절해 간 인물이 많았다. 사회주의자의 전향은 1933년 일본 사회주의운동의 국제적 인물이던 좌야학佐野學이 전향하면서 확산된 것인데, 더 많은 인원의 전향은 역시 일제가 집중적으로 공략한 시기인 중일전쟁 후부터의 현상이었다.
그러한 가운데 비전향의 공산주의 인사가 모여 과거의 화요계·ML계·상해계의 고질적인 분파를 초월하여 1939년에 조선공산당 재건작업에 착수하여 경성콩그룹 註110)을 결성하였다. 이것은 1929년 조선공산당이 해체된 뒤 10년만의 조직이었고, 한국 공산주의운동에서는 파벌을 초월한 최초의 조직이기도 했다.
박헌영을 중심한 경성콩그룹은 조직을 강화하면서 항일 서클활동을 전개하다가 194년 12월부터 이듬해 12월까지 3차에 걸쳐 거의 검거되었는데, 주목되는 것은 이때 1년여 동안의 조직을 기반으로 8·15 이후에 조선공산당의 정통성이 형성되었다는 점이다.
2. 건국동맹
건국동맹 註111)은 1944년 8월에 여운형이 결성한 건국준비단체였다. 여운형은 1919년 말 임시정부 외무차장으로 동경 행차를 가진 이래 민족지도자 가운데 일본 고관을 자주 면담한 유일한 인물이다. 1940년대 초반에도 동경에 머물면서 전중田中·대천大川·근위近衛·우원宇垣 등 일본 군부나 정계의 거물들과 만나 민족지도자로서의 기상을 폈다. 그것으로 이따금 불투명한 화제를 남기고 있던 것도 사실이었다. 그러나 전쟁 말기에 건국동맹을 결성함으로써 불투명한 행적은 극복되었다.
건국동맹은 각도에 비밀지부를 두고 8·15에 대비했을 뿐 아니라 농민동맹 같은 별동조직을 만들어 민중조직으로 발전시키면서 봉안촌奉安村 등을 근거로 註112)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또 중국 연안延安의 무정武亭과도 연락하여 조선의용군에 의한 8·15 전야의 유격전을 모색하기도 앴다. 이 건국동맹이 8·15와 함께 건국준비위원회로 발전한 것이다.
3. 조선어학회 등의 문화단체
조선어학회는 정치단체가 아니다. 그러나 어느 정치단체보다 독립운동사적 공적을 평가받아야 할 단체였다. 그것은 일제가 내선일체의 구호를 앞세우고 민족말살정책을 강행하고 있던 종전기에 민족의 생명인 민족의 어문, 즉 한글을 보전 발전시키는데 성공적인 성과를 올렸기 때문이다.
그들은 1929년 이래 『조선어사전』 편찬에 착수하였다. 그리고 1933년부터 ‘한글맞춤법통일안’을 만들고 완성하여 민족어문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즉 국어의 기초를 완성하여 8·15를 맞자마자 공용어를 한글로 쓰게 했고, 각급 학교에서 한글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터전을 닦았다.
동남아시아 각국이 독립한 뒤에도 국어를 찾지 못하고 정복국가의 문자를 쓰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한글의 보전으로 민족을 보전했고, 한글의 보급으로 민족의 역량을 성장시켰다는 점에서 독립운동의 큰 몫을 담당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때문에 『조선어사전』 발간에 임박한 1942년 10월에 일제는 조선어학회사건을 일으켰던 것이다.
당시는 일제 관헌에 끌려가면 굴복하고 소위 조선신궁朝鮮神宮까지 참배하고 돌아올 정도로 지도층이 허약해 있던 때였다. 박인호·주기철·한용운 등의 몇몇 인사를 제외한 종교계도 전향했고, 애국을 자처하던 수양동우회와 흥업구락부 인사도 거의 전향해 갔다. 언론과 문학도 일본화 되어 갔다.
그러나 이윤재·한징·이극로·최현배등의 조선어학회 인사들은 일제의 감옥에서도 끝내 굴하지 않고 민족의 양심을 지켰다. 한글맞춤법을 완성하고 큰사전 원고를 완성했던 조선어학회의 공적은 식민지시기에 이룬 한국민족주의의 결실로서 그 어느 성과에 못지 않은 값진 것이었다.
4.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미주 동포사회의 단체는 대한인국민회 외에 재래의 흥사단과 동지회가 있었는데, 종전기에 새로 결성한 중한민중동맹단中韓民衆同盟團·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하와이지부·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미주후원회가 결성되었다. 그들은 주로 중국에 있는 임시정부나 기타 운동단체를 지원하는 활동을 펴고 있었다. 그러한 공통점이 있었으므로 1941년 4월에 이들 단체가 연합하여 재미한족연합위원회를 결성하고 독립운동 지원체제를 일원화하였다.
그런데 1942년 초에 중한민중동맹단과 이듬해에 동지회가 탈퇴하여 동요가 일어났다. 조선의용대 후원회도 1943년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지부로 개편하면서 탈퇴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김원봉의 임시정부 참여에도 영향을 끼치지 못한 채, 미주 동포사회에서는 처음으로 사상적 이념분쟁이 일어났다.
그와 같은 이합집산이 거듭되는 속에서도 재미한족연합위원회는 임시정부의 재정을 지원했고 동포사회에서 청년을 모아 맹호부대를 창설하고 미군 OSS부대에 입대를 알선하는 등 독립전쟁의 몫을 맡기도 했다.
5. 조선독립동맹
1942년 7월 화북에서 화북조선청년연합회 제2차 대회에서 조선독립동맹 註113)이 결성되었다. 화북조선청년연합회는 1941년에 결성한 것인데 이것은 무정武亭을 비롯한 중국공산당 팔로군 출신, 무창武昌·한구漢口에서 화북으로 이동한 조선의용대 출신이 주축이 되어 있었다. 조선의용대는 1941년 3월에 화북으로 이동하여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로서 태항산太行山 일대에서 항전하였다. 대소전투를 치르는 가운데 그 해 12월 12일에 호가장胡家庄전투를, 또 1942년 5월에는 편성偏城전투를 치르면서 큰 타격을 입은 뒤에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는 중공군의 무정을 사령관으로 한 조선의용군으로 개편되었다. 그리고는 당군체제를 완비하기 위하여 때마침 중경에서 연안으로 온 김두봉金枓奉을 맞아 독립동맹을 결성한 것이다. 1943년에 일본군의 공격을 맞아 혈전 후에 연안延安으로 이동하였는데 그 뒤에는 조선항일군정학교를 운영하면서 항전하였다.
이와 같이 독립동맹과 조선의용군은 당·군으로서 곳곳에 지부를 두고 있었는데 임시정부가 있던 중경보다 국내와의 연락이 편리한 화북에 있었으므로 국내 인사와도 연락이 닿고 있었다. 註114) 독립동맹의 강령은 임시정부의 건국강령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서로 통일전선을 형성하기로 합의한 그때에 8·15를 맞아 실현하지는 못하였다. 8·15 후에 중국공산당의 동북정진군을 따라 북상하여 북한으로 들어갔는데, 북한에서 조선신민당으로 개편한 뒤에는 성격이 변해 갔다.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장 후기(1931~1945)의 독립운동, 중경의 임시정부/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0) | 2013.01.08 |
---|---|
제6장 후기(1931~1945)의 독립운동, 일제말기의 독립군/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0) | 2013.01.08 |
제6장 후기(1931~1945)의 독립운동, 해방 직전의 민중결사/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0) | 2013.01.08 |
제6장 후기(1931~1945)의 독립운동, 해방 직전의 국내외 독립운동/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0) | 2013.01.08 |
제6장 후기(1931~1945)의 독립운동, 조선학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의 정착/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0) | 201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