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제5장 중기(1919~1931)의 독립운동, 신간회의 설립과 해소/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몽유도원 2013. 1. 8. 14:12

4. 신간회의 설립과 해소


1. 신간회 결성의 의의


신간회는 일제하인 1927년 2월 15일부터 1931년 5월 15일까지 4년여 동안 있었던, 민족주의 좌파와 사회주의 진영이 제휴한 민족연합전선의 조직이었다. 註67) 좌파민족주의란 일본제국주의와의 비타협적 민족주의를 말하는 것인데 그 때 우파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어 학자에 따라서는 좌파만을 민족주의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민족주의 안에서 좌우파의 구분이 생긴 것은 춘원 이광수가 1924년초에 「민족적 경륜」이란 글을 발표하여 일제와 타협하면서 자치론적 민족운동을 제의하고 나섰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그들을 우파라 했다. 그리고 그의 모임이 연정회였는데 그들은 인도의 독립운동처럼 자치권의 확대를 성취하는 방식의 민족운동을 구상했다. 그러니까 3·1운동 전후에 대두한 민원식閔元植 등의 참정권적 자치론과는 그 의도하는 바가 다른 것이었지만, 그래도 그것이 개량주의이론이었으므로 모진 비판을 받았다. 그것은 강경론과 온건론 같은 체질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인도와 조선의 식민조건의 차이를 모르고 한 소리였기 때문에 피할 수 없는 비판이었다. 즉, 인도에 대한 영국의 통치방식은 군대의 주둔 외에, 행정에서는 영국인이 5천명 전후의 인원이 주재할 뿐이고 나머지는 인도인이 담당할 정도로 간접통치를 실시하였는 데 반하여, 조선에서 일제는 1909년에 일본인 이주를 2백만 명 계획했고군대 제외 실제에도 1백만 명이 주재하며 군사면 외에 행정·교육·산업·금융 등을 말단까지 지배한 직접통치였으므로 식민조건이 달랐던 것이다. 따라서 인도에서는 간디를 비롯한 국민의회파國民議會派, 파키스탄의 전신인 회교도연맹回敎徒聯盟이나 자치권적 독립운동을 전개하였고 그것이 민족의 권익과 영역을 확대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직접통치를 당하고 있던 조선에서는 자치란 식민적 조직을 확대, 강화하는 의미밖에 없었으니 춘원의 제창은 모진 비판을 받아 마땅하였다.

그래서 이광수의 자치론이 제기되자 이상재·신채호·신석우·홍명희·안재홍 등은 그를 개량주의라고 반박하면서 자신들의 비타협노선을 좌파라고 자칭하고 우파에 맞서게 되었다. 그런데 반박으로만 대항할 일이 아니라 오도되고 있는 민족주의에 대하여 어떤 대책이 강구되어야 했다. 그때에 사회주의 진영과 연락하여 양측이 연합한 기구로서 신간회를 구상하게 된 것이다. 즉 비타협이란 공통분모 위에서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가 연합전선의 형성을 모색한 것이다.

한편 사회주의라면 민족사회주의民族社會主義와 혁명사회주의革命社會主義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당시 국내에서는 두 가닥을 구별하지 않은 채, 1925년에 결성한 조선공산당이 모두를 대변하고 주도하고 있었다.

때문에 개량주의란 말도 원래 1914년 제1차세계대전이 일어나자 반전反戰을 주장하던 공산주의측에서 전쟁에 참전한 민주사회주의측을 공박하는 이론으로 솟구쳐 퍼져간 것이었는데 이때에 제2인터내셔널이 깨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하에서 사회개량주의는 불문하고 민족우파의 민족개량주의만을 가리키고 있었다. 이 이야기를 구태여 붙여두는 것은 개량주의라고 하는 타협론이 상황의 주객체에 따라 그 실상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해 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조선공산당이 개량적이든 혁명적이든 사회주의운동은 모두 주도하고 있었는데 그때에 코민테른국제공산당이 레닌 이래 민족주의 진영과의 협동전선을 종용하고 있었고, 아니더라도 조선공산당의 창당에 때맞추어 일제의 ‘치안유지법’이 발동하여 탄압이 계속되므로 공산주의운동을 위장할 필요가 있었고, 또 계급 또는 공산혁명에 앞서 민족혁명 즉 독립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민족적 요구가 강하였던 때여서 그를 수용하는 방도로서 민족주의 진영과의 연합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것이 표면화된 것이 조선공산당 계열의 「정우회선언正友會宣言」이었다. 그러니까 민족혁명을 위하여 두 진영이 합류하여 민족대당民族大黨으로서 신간회를 결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는 3·1운동 후 독립운동의 전열이 민족·공산의 두 진영으로 분열한 뒤에 국민대표회國民代表會, 조선민흥회朝鮮民興會, 국민당계획國民黨計劃 등으로 두 진영의 합동 또는 연합이 시도되다가 끝내는 실패하여 신간회의 결성으로 그를 성취하였으니 그 연합이 비록 통합은 아니었더라도 오늘날의 통일지향적 처지를 생각하면 그 의의는 큰 것이다.


2. 공과의 논의


이와 같은 의의를 가지고 출범한 신간회는 ① 정치적 경제적 각성, ② 민족적 단결, ③ 기회주의의 배격 등의 3대 강령을 내걸고 전국적으로 22개의 지회를 결성하거나 또는 결성준비를 완료했고 그의 자매단체인 근우회槿友會도 61개의 지회가 결성될 정도였다. 이것을 당시 220개 가량의 전국의 군수郡數와 비교해 봐도 신간회 또는 근우회의 바람이 전국을 휩쓸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호외로 발행된 신간회 기사


그리하여 특히 각 지회들은 당시의 학생운동·농민운동·노동운동의 중심 또는 배후에서 활약하며 민족독립운동을 발전시켜 갔다. 그런데도 신간회의 조직이나 활동의 공과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문자계층을 중심한 조직이었으므로 일제하 피해계층의 대종인 농민, 노동자는 제외되었지 않았느냐? 때문에 그의 활동도 역시 개량주의적이 아니었느냐는 것이다. 그것은 당시에 가령 8할 이상이 농민이었으므로 그를 위한 구체적 활동이 없었다면 민족주의든 공산주의든 이론의 유희에 빠져 있었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는 것이다. 더구나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의 여독으로, 또 그 위에 강요된 산미증식계획이나 비례세제 등으로 중산층이 소작 농민으로 몰락해 가던 그때에 더욱 주목해야 할 비판인 것이다.

이러한 비판은 특히 중앙의 조직이나 활동을 겨냥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지방의 경우에도 그런 경향이 다소는 있었는데 그것은 신간회가 가진 정당기능적 성격을 지향하고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지 않은 비판이 아닌가 한다. 그 점을 감안하면 일선 현장의 행동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인 것이다. 즉 신간회를 울타리로 해서 소작인회小作人會나 노동동맹勞動同盟 등의 단위조직이 일선행동을 수행해간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회의 경우는 정당기능과 일선기능을 함께 수행한 사례가 많았던 것도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1929년의 광주학생운동·원산노동쟁의·용천소작쟁의 등에서 학생이나 노동자·농민 등 그의 단위조직이 주도해간 그 속에 신간회의 활약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성격을 1928년 안동지회장 유인식柳寅植이 작고했을 때 그 장례식에 소작인회나 청년동맹의 만사輓詞 또는 만장輓章으로 덮였다는 사실에서도 나타나 있다.

그런데 1929년 조선공산당을 해체하고 때마침 모스크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東方勞力者共産大學의 유학생이 돌아와 운동노선의 변화가 있었고, 또 결성 당시에는 외면당하거나 외면했던 우파도 가입하는 등 그 후부터는 본부나 지회 등의 성격도 다양해진 것이 사실이므로 비판의 여지는 있게 되었다. 특히 우파의 가입과 공산측의 극좌적 변화는 신간회의 앞날을 어둡게 한 주요 원인이 되었다. 그러므로 조직이 해이해졌고 비판의 소리도 높아갔다. 그런데 학문적 비판은 근래에 신진학자에 의하여 많이 제기되고 있는 경향이니 앞으로 신간회 연구의 과제라 하겠다.

3. 해소와 그 교훈

신간회는 1931년 5월 15·16일 공산 진영측이 주도한 전국대회에서 해소를 결정하고 말았다. 일제도 그것을 기다렸다는 듯이 창립 이래 전국대회를 한번도 허가하지 않다가 해소대회만은 허가하였는데 아무튼 신간회의 해소는 우리 민족운동상에 큰 과오였다.

해소라고 하여 해체와 구분했던 것 자체가 불투명한 여운을 남긴 것이지만, 실제는 해체로 끝났는데 해체의 이유를 당시의 언론을 통해서 보면 『조선일보』에서는 공산측이 국제연장주의에 맹종한 탓이라 햇다 즉 민족적 고려없이 코민테른이나 프로핀테른의 정책에 추종한 탓이라는 것이다. 『동아일보』에서는 당초부터 민족진영의 피동적 자세가 강했던 데에 문제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근래의 젊은 학자간에는 조직성격이 정당도 아니고 그렇다고 실천적 운동조직도 아니어서 존립 명분을 상실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는 경우도 있다. 위의 세 가지의 이유 중에서 뒤의 두 가지는 간접적인 것이고 직접적인 것은 1928년 코민테른의 ‘12월테제’와 특히 1930년 프로핀테른의 ‘9월테제’에서 신간회가 개량주의화했다고 비판한 것을 성급하게 받아들인 한국공산주의자들의 해소 추진에 있었다.

코민테른이나 프로핀테른이 국제조직이라 해도 실제는 소련공산당이었고 12월 테제니 9월테제라고 해도 그것은 소련공산당의 지시였는데 그것도 한국의 연합전선을 1927년 국공國共이 분열한 중국의 경우처럼 될 것을 자기들 나름대로 우려한 것이었는데 그것을 과민하게 받아들여 맹종했으므로 소아병적이라 해도 옳을 것이다.

우리 민족의 특성을 알지도 못하면서 모스크바의 이익기준에 따라 이러쿵저러쿵 한 것을 당시의 무정부주의자들의 말대로 사회주의적 제국주의로 볼 것이냐는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에 맹종한 한국인의 민족적 자세는 크게 반성해야 할 과오였던 것이다. 프로핀테른의 지적대로 신간회가 개량주의에 빠졌다면 그 점을 시정하면 될 것을, 빈대 무서워 초가삼간 태우듯이 해소를 서두른 것은 확실히 잘못된 것이었다. 그것은 공산주의 자체로 봐서도 실책이었다.

이미 1929년에 조선공산당도 해체한 뒤였는데 신간회의 조직도 없애버렸으니, 그 후 공산주의 운동도 의지할 조직이 없어 고아처럼 방황하다가 조선공산당의 재건도 끝내 성공하지 못하고 만 것이다. 그래서 8·15 때 공산주의 운동의 주인이 없는 꼴이 되고 말았지 않았던가 말이다. 후일 공산측에서 신간회의 해소를 과오로 지적했던 것도 그러한 실책을 의미했을 것이다.

이러한 국제주의의 형식논리의 과오는 해외 동포사회에서도 있었다, 해외에서 연합전선의 모색은 민족유일당운동으로 표현되고 있었는데 그것은 1926년 북경의 한국독립유일당북경촉성회韓國獨立唯一黨北京促成會에서 비롯되었고 그 후 상해·남경·광동·천진·길림 등지에서도 추진되었다. 그러한 민족대당의 결성추진에 따라 임시정부에서도 1926년부터 홍진洪震내각에서는 민족의 대당유일당이 결성되면 그 당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이당치국을 선언했고 1927년에는 김구 내각이 주도하여 헌법까지 개정하여 유일당을 맞을 채비를 갖추고 있었다. 중국의 국공분열이 진행되어 그의 영향을 직접 받은 중국 내의 유일당촉성 즉, 연합전선의 모색은 물거품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신간회의 존재는 일제에게 큰 위협이었다. 그러므로 해체된 뒤에 일제는 신간회와 같은 민족운동을 두려워한 나머지 신간회의 주역이었던 『조선일보』의 안재홍과 이승복李昇馥에게 재만동포옹호동맹在滿同胞擁護同盟의 의연금을 횡령하였다는 누명을 씌워 1932년 감금하였다. 내막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의심을 갖게 하여 민족적 결집력을 쇠퇴시키자는 것이었다. 이러한 방식의 일제의 술책은 구한말 국채보상운동이 한창일 때 그의 주역이었던 양기탁梁起鐸을 역시 국채보상금을 횡령했다는 죄목으로 감감하여 국채보상운동 같은 민족운동을 와해시킨 전례와 같은 것이었다.

이와 같은 일제의 방해공작과 탄압이 계속되어 신간회를 해체한 후 국내에서는 어떠한 조직도 전국적인 것은 민족진영의 것만이라도 결성할 수 없었으니 신간회 해소의 민족적 과오를 다시 한번 반성케 했다.


4. 신간회의 유산


신간회는 한국의 독립을 위한 방략으로 사상이 연합하고 또한 그 사상단체가 연합한 민족적 조직이었다. 그것은 대외적 필요에 의한 연합이어서 내적 통일과는 달랐다. 신간회라는 공동의 광장에서 서로의 사상을 교류하였고 또 각기의 단체를 섞어봤기 때문에 거기에서 새로운 사상이나 새로운 통일지향적 조직의 교훈을 남길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것이 사상적으로 국내 신민족주의新民族主義와 해외 삼균주의三均主義였고 또 조직으로는 1935년경부터 국내외에서 크고 작은 민족주의단체가 크게 일어나 8·15까지 발전되어 갔다. 해외에서는 역시 그 무렵부터 정당통합운동이 전개되어 처음으로 정당정치의 전통을 수립한 점인 것이다.

신간회가 해체된 1930년대 전반기는 민족해방운동이 퇴색한 시기였다. 사회주의 진영에서 민족해방보다 계급해방을 지향한 탓이었다. 때문에 신간회도 민족적이라 하여 해체하고 말았지만, 그러한 민족 부정적 풍토는 1930년대 전반기에 확산되면서 계급해방 또는 계급혁명의 이론이 크게 부각되어 갔다. 그것은 당시 학생운동에서 잘 나타나 계급혁명적 학생써클이 학원마다 조직되고 있을 정도였다.

그런데 1935년경부터는 그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 계급혁명이론은 물러나고 민족혁명이론이 앞서게 되어 학원에서도 민족주의 학생단체가 양적인 면에서는 물론, 질적으로도 크게 발전해 갔다. 그의 이유는 장황하니 각설하지만 이때 민족주의이론은 1920년대의 것에 사회주의이론의 장점을 도입한 신민족주의였는데 안재홍 등에 의해서 제창되었다. 그것은 신간회라는 공동의 광장에서 태동한 민족주의의 수정이론인 것이다. 즉 사회주의의 특성인 세계보편성과 계급극복의 논리를 민족주의가 수용하여 민족간의 배타적이 아닌 세계 보편성세계주의에 이바지하는 민족주의로서, 또 민족내부에서 계급을 초월한 민족주의가 설득력 있는 이론으로 발전한 것인데 그에 동조한 이가 학자로는 손진태·조윤제 등이다.

삼균주의는 상해에서 1931년 조소앙이 제창한 것이다. 이것은 신간회의 유산이라기보다 민족유일당운동과 그 시련의 유산이라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신간회나 유일당운동이 같은 성격의 것이고 보면 민족 연합전선으로서 신간회의 유산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삼균주의는 한말로 말하면 민주사회주의의 논리이다. 삼균주의의 국균國均·족균族均·민균民均이란 것은 세계주의와 민족주의의 모순 없는 결합을 지향한 이론이고,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은 사회주의이론인데 그것이 의회적 절차를 표방하고 있는 데에서 공산주의와 구별된 민주사회주의의 이론이었다.

이러한 민주사회주의는 조소앙이 이미 1917년부터 제기하고 있던 것이었으나 그것을 우리의 체질에 맞게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것은 1931년 삼균주의 제창에서 비롯되었고, 그것은 1920년대 후반기 세계적인 경제공황과 민족적인 유일당운동신간회을 겪으면서 반성적 산물로 생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민족주의나 삼균주의가 투영된 것이 1930년 후반기에 국내의 민족주의 학생단체가 확산되고 있던 것이었고, 중국에서는 3당통합 또는 5당통합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독립당과 민족혁명당으로 여러 정당이 정비되어 간 것이었다. 그리하여 1939년부터는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양당에 의한 정당정치가 구현되었던 것이다. 이때 양당의 정강이 모두 삼균주의적이었다는 점도 주목되었지만 정당정치를 구현했다는 것이 신간회의 정당지향성이나 유일당운동의 이당공작以黨工作 을 표방한 것의 유산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되는 것이다.

정당의 연합체제는 1942년 임시의정원이 이른바 통합의회를 구성한데에서 달성되고 있었다. 즉 김구·조소앙 등의 한국독립당과 김규식金奎植·김원봉金元鳳 등의 민족혁명당과 유림柳林 등의 무정부주의동맹이 1942년부터 함께 임시의정원에 참가하면서 임시정부의 연합전선이 형성되었다. 이때에 김두봉·무정 등 연안延安의 독립동맹獨立同盟도 임시정부를 한국독립운동의 중앙기관으로 인정하고 있었으니 간접적이나마 연합전선 형성에 참가하고 있었던 것으로 봐야 하고 그러한 연합전선은 신간회의 시범적 유산으로 이해되어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이 신간회의 유산은 신민족주의나 삼균주의의 이념으로, 정당정치의 구현으로, 연합전선의 형성으로 전승되어 8·15를 맞았다고 하겠다. 이렇게 보면 신간회는 8·15까지 모양을 달리하여 살아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해방정국을 지배한 미·소가 그러한 주체적 조건을 무시하고 오히려 그것을 악용하여 국토를 분단하고 말았으니 신간회의 해체 때처럼 악용당한 민족적 과오를 반성하면서 신간회의 안목을 되살려 가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