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1920년대 일제의 민족분열통치

몽유도원 2013. 7. 20. 20:49

제5권 1920년대 일제의 민족분열통치


이명화 李明花 


홍익대학교 역사교육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상명대 강사, 홍익대 겸임교수 역임 

현재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책임연구위원 

충북대학교 강사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발간 취지


우리는 광복 60주년을 맞아 범국민적인 염원을 담아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를 내놓는다. 이로써 풍찬노숙하며 독립운동에 나섰던 선열들의 영웅적 투쟁에 보답하고 일제 강점으로 이지러졌던 한민족사를 바로잡는 한편 국내외에 대하여 우리의 자랑스런 항일독립운동의 역사를 널리 알리고자 한다. 


한민족은 근대에 들어서면서 일제의 침략을 받았고, 1910년 일제에게 국토와 주권을 강점당하여 식민지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일제의 식민통치는 세계 역사상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가혹하였고, 한민족을 일본인으로 동화시키려는 민족말살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한민족은 일제의 침략을 막아내기 위해, 그리고 식민지 지배를 벗어나기 위해 각계각층에서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한민족의 독립운동은 일제가 한국을 침략할 때부터 일제가 패망하는 순간까지 지속되었고, 또 대한민국임시정부를 비롯하여 무장투쟁·의열투쟁·외교활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개되었다. 선열들의 가열찬 독립운동이 있었기에 1945년 8월 해방을 맞아 우리는 떳떳할 수 있었다. 


해방 후 우리 민족이 가장 먼저 수행했어야 할 과제는 독립운동의 역사를 정리하고 식민잔재를 청산하여, 민족정기를 바로잡는 일이었다. 그러나 식민잔재 청산의 실패와 국토 분단은 역사적 과업의 추진동력을 상실케 했다. 민족주의 운동이 고양되고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독립운동사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지금은 광복 60주년에 맞춰 60권으로 펴내고 있지만, 조국의 통일이 완성될 때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는 완전자주통일독립의 역사까지 담아 새롭게 쓰여지기를 염원하면서 이 책을 삼가 펴낸다. 


2009년 11월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목차


제1장 연구동향과 서술범위 

제1절 연구동향 3 

제2절 서술범위 8 



제2장 국내외 정세와 조선통치안의 검토 

제1절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정세변화 13 

1.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정세변화 13 

2. 원경 수상의 식민지정책의 개편 15 

3. 조선총독부관제 개편 전 조선통치안 22 

제2절 3·1운동 이후 조선총독부 통치에 대한 국외의 반응 26 

1. 재미한인의 독립운동 26 

2. 미국·영국의 조선관 30 



제3장 식민지체제의 개편과 문화통치 

제1절 재등실 총독의 부임과 문화정치 공포 41 

1. 재등실 총독의 부임 41 

2. ‘문화정치’의 공포 43 

제2절 재등실의 통치 5대정강과 조선민족운동에 대한 대책 49 

1. 조선통치 5대정강 49 

2. 조선민족운동에 대한 대책 53 

제3절 일시동인과 차별철폐의 선전 59 

1. 제복과 차별대우 철폐의 선전 59 

2. 경찰제도의 전환과 확대 - 보통경찰제 및 고등경찰제 시행 62 

3. 형벌 시행 - 태형 폐지와 치안유지법의 운영 65 

제4절 문화정치 표방에 대한 열강의 반응 70 

1. 형벌·경찰제도 개혁과 영미의 반응 71 

2. 교육·지방제도 개혁과 영미의 반응 72 

3. 반일민족운동에 대한 영미의 견해 75 



제4장 내선일체의 정치홍보 강화와 선전활동 

제1절 조선총독부의 조사 및 선전활동 83 

1. 조선총독부의 조사활동 83 

2. 대내외 정치선전 및 정보수집 활동 87 

1) 일본시찰단 파견과 운영 88 

2) 조선정보위원회의 설치와 활동사진반 운영 100 

3) 정보휘찬 시리즈의 간행 103 

4) 관동대지진 이후 ‘ 내선융화 ’ 선전 강화 107 

제2절 민간 정보수집과 여론 조성 112 

1. 내선융화의 선전과 식민지 현실 113 

2. 민간 일본인을 통한 선전활동 115 

3. 동광회의 활동 121 

4. 조선사정기밀통신의 운영 123 

제3절 조선총독부의 유교정책과 사회교화운동 127 

1. 경학원의 장악 129 

2. 지방향교의 변화와 분열 132 

3. 향교의 사회교화사업 135 

4. 친일유교단체의 결성과 교화사업 138 

5. 친일유림단체 대동사문회와 유도진흥회 141 



제5장 식민지교육정책의 변화와 동화교육의 강화 

제1절 3·1운동 이후 학무국 업무의 변화 151 

제2절 조선교육령 개정과 식민지교육정책 156 

1. 임시교육조사위원회의 설치와 교육령 개정 156 

2. 임시교과서조사위원회 설치와 교과서 개편 161 

3. 사회주의사상의 보급과 식민지교육의 대응 164 

4. 경성제국대학의 설립과 운영 168 

제3절 조선총독부의 언어동화정책 178 

1. 강제병합과 언어동화정책 178 

2. 3·1운동의 발발과 언어동화정책의 강화 180 

3. 개정 조선교육령에 나타난 언어정책 181 

4. 교육 현장에서의 언어동화 183 

5. 사회교육을 통한 일본어 보급 189 

제4절 조선어장려책의 본의와 민족적 항거 193 

1. 조선어장려책 시행의 배경 193 

2. 조선어장려시험의 시행과 민족적 항거 195 



제6장 자치·참정권운동의 전개와 민족분열정책 

제1절 자치·참정권운동과 민족분열책 203 

1. 자치운동의 연원 203 

2. 지방제도 개정과 지방자치운동 207 

3. 참정권운동과 조선의회 설치운동 211 

4. 자치운동을 이용한 민족분열책 215 

제2절 일제의 민족분열책과 민족운동의 분화 225 

1. 교육진흥운동과 조선총독부의 분열책 225 

1) 조선교육회의 교육진흥운동 225 

2) 관변 조선교육회 설립과 운영 228 

2. 친일세력육성과 민족개량주의 출현 231 

3. 각파유지연맹의 결성과 친일단체의 연대 237 

4. 1920년대 민족운동의 분화 242 



참고문헌 253 


찾아보기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