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망명정부 수립계획
독립의군부나 민단조합의 복벽주의는 대중적 기반을 얻지 못하여 결성한 후 얼마 되지 않아 해체당하고 말았다. 그런데 복벽주의와 달리 입헌군주론의 보황주의는 별도로 존재하였다. 註32) 그의 대표자는 이상설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상설이 1910년대 전반까지만 해도 해외독립운동계에서 카리스마적 존재였기 때문에 그의 보황주의는 그가 활동한 연해주나 북간도 그리고 중국본토의 동포사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를 따르던 이동녕·이회영·박은식·신채호·신규식 또한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보황주의입헌군주론에 동조하고 있었다.
1914년 이상설은 이동휘李東輝·박용만朴容萬 등과 연락하여 그동안의 독립군기지 개척의 성과로 준비된 각처의 독립군 역량을 결집하기 위하여 블라디보스톡海蔘威에서 대한광복군정부大韓光復軍政府를 결성하였다. 註33)
그런데 그 해에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러시아정부에 의해서 모든 독립군 단체가 해체당할 때 대한광복군정부도 해산되고 이상설은 북경으로 망명하였다. 註34) 그는 북경에서 새로운 전략으로서 망명정부 수립계획을 세우고 이의 실천 조직인 신한혁명당新韓革命黨을 만들었다. 즉 광무황제를 국외로 탈출시켜 망명정부를 세울 전략을 계획한 것이다. 註35) 그리하여 1915년 외교부장 성낙형成樂馨이 국내로 잠입하여 광무황제 망명을 추진하다가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註36) 당시 광무황제는 이른바 이왕직장관李王職長官을 비롯한 친일 관리들에게 둘러싸여 있어서 독립운동자가 접근하기가 극히 어려웠으므로 사전에 발각되고 만 것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박은식·신채호 등 구한말 신민회 인사들이 보황주의적 신한혁명당에 참가하고 있는 점이다. 그렇다면 신민회 당시에는 공화주의자였으나 이때에 보황주의자로 태도변화가 이루어졌는지, 혹은 신민회 당시에도 보황주의자였는지, 혹은 원래 양자를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았던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런데 어느 것이 되었든지 신한혁명당의 계획이 실패하고 이어 그의 총수였던 이상설이 1917년 초에 타계한 후, 그 해 상해에서 신규식·박용만·박은식·신채호가 「대동단결선언大同團結宣言」을 발표할 때는 대한제국의 멸망은 융희황제의 주권포기로 단정하고 註37) 동시에 보황주의를 청산하고 공화주의를 표방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념상의 변화는 1910년대 독립운동의 사상과 전략의 변천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註38)
광무황제의 망명을 은밀히 추진한 또 하나의 인물은 이회영이었다. 그는 서울에 잠입하여 우선 광무황제가 망명하면 거처할 망명궁전을 장만할 자금으로 민영달閔泳達의 후원을 받아 5만 원을 북경에 있는 동생 이시영李始榮에게 보내고, 황제에게 접근하는 데도 성공하여 망명을 눈앞에 두고 있었다. 하지만 1919년 1월 광무황제가 급서한 것이다. 註39) 두 차례에 걸친 망명계획을 격파한 일제가 그 뿌리를 제거할 음모로서 광무황제를 독살했다고 볼 수 있으나 분명한 증거는 없다.
아무튼 1910년대에 광무황제의 망명계획이 꾸준히 추진되고 있었던 사실은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그 목적은 무엇보다 국제적인 발언권이나 독립운동의 호소력을 강화한다는 데에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그리고 보황주의 사상은 중국의 일각에 군림하고 있던 입헌군주론의 영향도 받았다고 보아야 한다. 간혹 보황주의를 복벽주의와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엄밀히 구별해야 할 것이다. 복벽주의는 척사사상의 기초 위의 정치이론으로서 전제군주론을 말하는 것이고, 보황주의는 전략상의 입헌군주론인 것이다.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장 초기(1910~1919)의 독립운동, 민족교육의 강화/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0) | 2013.01.06 |
---|---|
제3장 초기(1910~1919)의 독립운동, 혁명전략의 대두와 대한광복회/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0) | 2013.01.06 |
제3장 초기(1910~1919)의 독립운동, 1910년대 독립운동/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0) | 2013.01.06 |
제2장 한말의 구국운동, 문화 민족주의/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0) | 2013.01.05 |
제2장 한말의 구국운동, 계몽주의의 사상구조/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0) | 201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