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권 한말 중기의병
박민영 朴敏泳
인하대학교 역사교육과 졸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학석사·박사
한국근현대사학회 편집·총무이사
인하대·단국대 강사
현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강사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발간 취지
우리는 광복 60주년을 맞아 범국민적인 염원을 담아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를 내놓는다. 이로써 풍찬노숙하며 독립운동에 나섰던 선열들의 영웅적 투쟁에 보답하고 일제 강점으로 이지러졌던 한민족사를 바로잡는 한편 국내외에 대하여 우리의 자랑스런 항일독립운동의 역사를 널리 알리고자 한다.
한민족은 근대에 들어서면서 일제의 침략을 받았고, 1910년 일제에게 국토와 주권을 강점당하여 식민지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일제의 식민통치는 세계 역사상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가혹하였고, 한민족을 일본인으로 동화시키려는 민족말살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한민족은 일제의 침략을 막아내기 위해, 그리고 식민지 지배를 벗어나기 위해 각계각층에서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한민족의 독립운동은 일제가 한국을 침략할 때부터 일제가 패망하는 순간까지 지속되었고, 또 대한민국임시정부를 비롯하여 무장투쟁·의열투쟁·외교활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개되었다. 선열들의 가열찬 독립운동이 있었기에 1945년 8월 해방을 맞아 우리는 떳떳할 수 있었다.
해방 후 우리 민족이 가장 먼저 수행했어야 할 과제는 독립운동의 역사를 정리하고 식민잔재를 청산하여, 민족정기를 바로잡는 일이었다. 그러나 식민잔재 청산의 실패와 국토 분단은 역사적 과업의 추진동력을 상실케 했다. 민족주의 운동이 고양되고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독립운동사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지금은 광복 60주년에 맞춰 60권으로 펴내고 있지만, 조국의 통일이 완성될 때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는 완전자주통일독립의 역사까지 담아 새롭게 쓰여지기를 염원하면서 이 책을 삼가 펴낸다.
2009년 8월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동지방의 원용팔 의병 / 한말 중기의병 (0) | 2014.02.03 |
---|---|
중기의병의 시대적 배경과 전국적 개황 / 한말 중기의병 (0) | 2014.02.03 |
전기의병의 사회적 기반과 이념 / 한말 전기의병 (0) | 2014.01.16 |
일본군과의 항전 / 한말 전기의병 (0) | 2014.01.16 |
전기의병의 반개화 투쟁 / 한말 전기의병 (0) | 201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