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재룡 [1884~1955]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84년 1월 3일 경상남도 창녕에서 단양우씨 채희와 진주강씨의 6남매 중 외아들로 태어나 일곱 살 되던 해에 글공부를 시작했으나 문인적
소양보다는 무.. |
|
|
|
|
김도연 [1894~1967] |
•
훈격 : 애국장 / 서훈년도 : 애국장 |
공적개요 |
선생은
경기도 김포(현 강서구 염창동)에서 아버지 김종원과 어머니 초계정씨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나 7세 때부터 한학을 익히고, 우국인사들이 세운
태극학교(太.. |
|
|
|
|
홍병기 [1869~1949]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1869년
11월 5일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이포리에서 홍익룡과 한익화 사이에서 2대 독자로 출생한 선생은 어려서 한학을 배우고 무예를 닦아 19세 때인
1887년 무.. |
|
|
|
|
윤기섭 [1887~1959] |
•
훈격 : / 서훈년도 : |
공적개요 |
선생은
1887년 4월 4일 경기도 파주의 해평 윤씨 명문가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강원도 철원의 문장가 박초양 선생의 문하에서 공부하고 서울 보성학교를
제1회로.. |
|
|
|
|
양근환 [1894-1950] |
•
훈격 : / 서훈년도 : |
공적개요 |
선생은
1894년 5월 9일 황해도 연백군 은천면에서 태어나 18세에 사립 동명학교를 졸업하고 20세가 되던 1914년에 서울에 올라와 공업전습소를
다녔다. 서울에 머.. |
|
|
|
|
윤병구 [1880~1949]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1903년
10월 5일, 미국으로 건너가 하와이에 정착한 선생은 목회자로서 그리고 미주사회의 중심인물로서 한인사회의 화합과 독립을 위한 외교활동에 평생을
바친.. |
|
|
|
|
박자혜 [1895~1943] |
•
훈격 : 애족장 / 서훈년도 : 애족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95년 12월 11일 경기도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중인 출신의 박원순이고 모친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어린시절 아기나인으로 입궁해 약
10여년 궁.. |
|
|
|
|
박찬익 [1884~1949]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84년 1월 2일 경기도 파주에서 태어났다. 성년이 되기까지 서당에서 유학을 공부한 선생은 20세가 되던 1904년, 서울의 농상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일본.. |
|
|
|
|
이종희 [1890~1946]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90년 4월 19일, 전라도 금구현에서 태어났다. 조선조 정여립사건, 한말 동학 남접의 조직을 비롯하여 금산사를 배경으로 한 미륵신앙의
혁명적 사상과 .. |
|
|
|
|
안명근 [1879~1927]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7살이 되던 해 황해도 신천의 청계동으로 이사하였다. 어린시절 사촌형 안중근과 함께 성장하며 화서학파의 거유
고능선.. |
|
|
|
|
장석천 [1903~1935] |
•
훈격 : 애국장 / 서훈년도 : 애국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903년 전남 완도군 신지도에서 태어났다. 고향에서 초등교육을 마치고 1918년경 서울로 올라와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일본인 교사의
조선인 .. |
|
|
|
|
계봉우 [1880~1959]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함경도
영흥에서 출생한 선생은 1910년 함흥 영생중학교 교사로 근무하다가 이동휘 선생을 따라 비밀결사 신민회에 가입하여 구국계몽운동에 투신하였고,
북간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