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치정 [1880~1932]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1905
공립협회 조직○1907 신민회 주도○1911 데라우치총독 암살 음모 조작사건으로 옥고○1920 임시정부 연통제
참사 |
|
|
|
|
김광제,서상돈 [] |
•
훈격 : 애족장 / 서훈년도 : 애족장 |
공적개요 |
김광제[1866~1920]
애족장 서훈년도 1990년ㅇ1905 을사늑약 반대 운동ㅇ1907 국채보상운동 발의, 주도ㅇ1920 제2의 3.1운동
시도서상돈[1850~1913] 애족장 서훈년.. |
|
|
|
|
권동진 [1861~1947]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ㅇ1919
3.1운동 민족대표ㅇ1927 신간회 부회장ㅇ1929 광주학생운동 지원 |
|
|
|
|
손정도 [1881-1931]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주요공적-
1919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장- 1921 임시정부 교통총장- 1922 대한적십자회 회장- 1927 만주에서 농민호조사 결성“우리 나라가 잘
되려면 지방색.. |
|
|
|
|
조신성 [1873~1953] |
•
훈격 : 애국장 / 서훈년도 : 애국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73년 평북 의주에서 약 60리 떨어진 비현역 근처에서 출생했다. 선생이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 아버지는 집을 나간 버린 상태였으며,
어머니는 선생이 .. |
|
|
|
|
이위종 [1887~미상]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ㅇ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특사로 활약- 일제 침략상 폭로 및 을사늑약의 무효선언-「한국의 호소」주제강연 자주독립 열망알림 - "헤이그신보"보도로
국제여.. |
|
|
|
|
구춘선 [1857~1944]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ㅇ1913
연길현 한인자치구 부회장ㅇ1919 항일독립단체인 대한국민회 회장ㅇ1920 임시정부 산하 총판부 간부ㅇ1921 돈화현에 사관학교
설립 |
|
|
|
|
정환직 [1843~1907]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ㅇ1888
의금부 금부도사, 삼남관찰사ㅇ1900 아들 정용기 의병 봉기ㅇ1907 정용기가 영천에서 전사하자 의병장이 되어 항일운동 중 피체되어
순국 |
|
|
|
|
박시창 [1903~1986]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1.
선정배경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광복군 창설일인 9월 17일을 기념하고 일본과의 전투에 앞장선 광복군 지도자
박시창선생(1903~1986)의.. |
|
|
|
|
권득수 [1873~1907] |
•
훈격 : 애국장 / 서훈년도 : 애국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77년 경기도 양주군 남면에서 출생하여 파주군 적성에서 성장하였다. 본관은 안동이다. 선생은 어려서부터 엄격한 충효의 정신을 바탕으로 한
家學을 전.. |
|
|
|
|
주기철 [1897~1944]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ㅇ1919년
3·1 독립만세운동 참여ㅇ1936년 궁성요배·신사참배 거부운동 전개ㅇ1944년 일경에 피체되어 옥고 중
순국 |
|
|
|
|
윤동주 [1917~1945]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ㅇ1936년
중국 광명중학교에 진학하여 詩작품을 통한 항일민족정신의 기초를 닦음ㅇ1938년 연희전문학교에 진학 후 민족정신과 조국독립을 위해
'서시’,‘별헤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