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현구 [1882.12.8~1930.7.13] |
•
훈격 : 건국훈장 독립장 / 서훈년도 : 건국훈장 독립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82년 12월 8일 충남 논산 부적면 안천리에서 태어났다.일찍이 고향인 논산에서 개척교회를 세우며 전도사업을 벌이던 선생은 1906년경
미국인 선교사 윌.. |
|
|
|
|
강기동 [1884.3.5~1911.4.17] |
•
훈격 : 건국훈장 대통령장 / 서훈년도 : 건국훈장 대통령장 |
공적개요 |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일제 헌병보조원 재직시 투옥된 의병을 탈옥시키고,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어 경기도 양주 포천에서 활동하였으며
북간.. |
|
|
|
|
이종훈 [1856.3.2~1931.5.2] |
•
훈격 : 건국훈장 대통령장 / 서훈년도 : 건국훈장 대통령장 |
공적개요 |
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3·1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1920년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 혐의로 2년간 옥고를
치렀으.. |
|
|
|
|
조완구 [1881.3.20~1954.10.27] |
•
훈격 : 건국훈장 대통령장 / 서훈년도 : 건국훈장 대통령장 |
공적개요 |
조완구
선생은 서울 계동 명문가 집안에서 태어나 1902년 한성법학전수학교를 마치고 내부 주사에 임명되었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제에게 국권을
침탈당하자.. |
|
|
|
|
어윤희 [1991.6.20~1961.11.18] |
•
훈격 : 건국훈장 애족장 / 서훈년도 : 건국훈장 애족장 |
공적개요 |
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3.1운동 당시 개성에서 만세시위 주도 후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고 신간회와 근우회 개성지회 창립 및 주역으로
활동.. |
|
|
|
|
조병준 [1862.10.2~1931.10.2] |
•
훈격 : 건국훈장 독립장 / 서훈년도 : 건국훈장 독립장 |
공적개요 |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의병투쟁을 비롯하여 서간도 대한독립단 지도자로, 임시정부 연통제 평북독판부 독판으로, 내몽고 독립운동
개척자.. |
|
|
|
|
홍언 [1880.2.27~1951.3.25] |
•
훈격 : 건국훈장 독립장 / 서훈년도 : 건국훈장 독립장 |
공적개요 |
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미주 한인합성신보, 신한민보의 주필 및 흥사단에서 활동하고,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부회장으로 교민사회의
지도적.. |
|
|
|
|
이범진 [1852.9.3~1911.1.] |
•
훈격 : 건국훈장 애국장 / 서훈년도 : 건국훈장 애국장 |
공적개요 |
★경술국치에
항거하여 자결순국한 대한제국 외교관 이범진★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이범진(李範晉, 1852∼1911) 선생은 대한제국 시기 정치가,
외교관이자 .. |
|
|
|
|
나태섭 [1901.12.16~1989.5.9] |
•
훈격 : 건국훈장 독립장 / 서훈년도 : 건국훈장 독립장 |
공적개요 |
★한국광복군
창설의 숨은 주역 나태섭(羅泰燮)★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특파단으로 서안에 파견되어 한국광복군
창.. |
|
|
|
|
김규식 [1882~1931]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만주 왕청현에 설립한 사관학교에서 독립군 양성, 북로군정서 대대장으로 청산리전투의 승전 지휘, 고려혁명군
총사.. |
|
|
|
|
문석봉 [1851.12.24~1896.11.19]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명성황후 시해 후 유성에서 최초로 의병을 일으켜 항쟁하다 체포되었으며 탈옥하여 재거의를 도모하던 중 서거한
문.. |
|
|
|
|
김종진 [1901.12.26~1931.7.11] |
•
훈격 : 건국훈장 애국장 / 서훈년도 : 건국훈장 애국장 |
공적개요 |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김좌진이 이끄는 신민부, 한족총연합회에 가담하여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하고, 중국 해림에서
재만조선무정부주의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