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한묵 [1862~1919] |
•
훈격 : / 서훈년도 : |
공적개요 |
○1905년
“헌정연구회” 조직하여 친일세력에 대항○1909년 천도교총부 법도사, 1911년 직무도사 역임○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으로 활약하다
체포되어 서.. |
|
|
|
|
문태수 [1880-1913]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80년 3월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 신기(장구지) 마을에서 태어났다. 선생의 본관은 남평이고, 본명은 태진(泰珍)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가 태수.. |
|
|
|
|
장인환 [1876~1930]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76년 3월, 평안남도 평양군 대동면에서 아버지 장명구(張明九)씨와 어머니 김씨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어릴 때 부모님을 여의고 어렵게
생활하다 여의치.. |
|
|
|
|
김성숙 [1898~1969]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
1919년 3월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려다 체포,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 1920년 무산자동맹, 노동공제회 참여○ 1923년 중국에서
“조선의열단”에 가맹○ 1928년.. |
|
|
|
|
박재혁 [1895~1921]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95년 부산 범일동에서 부친 박광선과 모친 이치수 사이에서 3대 독자로 태어나 사립육영학교(현재 부산진초등학교)에 들어가 근대적 교육을
받았고, 부.. |
|
|
|
|
김원식 [미상~1908]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ㅇ
강원도 평강. 인제 일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ㅇ 북한강 일대에서 이강년 의병부대와 함께 일본군 수비대를 공격ㅇ 강원도 금성(현 철원)에서
전사 |
|
|
|
|
안공근 [1889~1940]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1920년
1월 모스크바 밀파외교원으로 선정, 동년 10월 임시파로외교위원에 임명○1926년 2월 중국 상해한인교민단장, 동년 5월 중국 상해에서
독립운동촉진회 .. |
|
|
|
|
유동열 [1879~1950]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79년 3월, 평안북도 박천군에서 부친 유종식과 모친 최씨 사이에서 태어나 19살 때 사촌형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샌프란시스코에 체류하다
일본 육군.. |
|
|
|
|
윤희순 [1860~1935] |
•
훈격 : 애족장 / 서훈년도 : 애족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60년 경기도 구리에서 윤익상과 평해 황씨의 큰딸로 태어나 16세가 되던 해, 춘천 의병장 외당 유홍석의 장남이며 팔도창의대장 의암 유인석의
조.. |
|
|
|
|
유동하 [1892~1918]]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선생은
1892년 1월 5일 함경남도 원산에서 유경집과 함흥군수의 딸 강씨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나 16세에 허희명의 여식과 결혼하여 부친을
도와 약종상에 .. |
|
|
|
|
남상목 [1876~1908] |
•
훈격 : 애국장 / 서훈년도 : 애국장 |
공적개요 |
ㅇ
의병장으로 경기 남부에서 일본군과 수차례 전투ㅇ 의병부대를 재정비하여 안성으로 진격, 승리를 거두었으나밀고로 붙잡혀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 |
|
|
|
|
박동완 [] |
•
훈격 : / 서훈년도 : |
공적개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