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독립운동의 역사-김삼웅·한시준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친일세력의 현실인식 / 일제의 친일파 육성과 반민족 세력

몽유도원 2014. 1. 9. 10:37

제4장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친일세력의 현실인식

1. 국제정세와 일제의 민족말살정책

2. 친일세력의 국제정세 인식과 친일논리



1. 국제정세와 일제의 민족말살정책


1. 전시체제기 국제정세와 일제의 대응

1930년대 세계는 급변하고 있었다. 유럽에서는 독일과 이탈리아가 파시즘체제를 구축했다. 독일은 대공황으로 경제가 붕괴되어 실업률이 50%에 육박하였다. 노동자들은 대공황을 초래한 자본주의체제를 무너뜨리고 러시아혁명과 같은 급격한 사회변화를 요구했다. 반면에 자본가와 중산 계급은 허약한 정부를 대신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강력한 지도자를 요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히틀러Adolf Hitler가 등장하였다. 독일인들은 제1차 세계대전의 패전으로 짓밟힌 독일의 자존심을 회복하고, 게르만족의 영광을 되찾자는 히틀러의 주장에 열광했다. 나치즘의 광기는 독일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1933년 베르사이유체제 타파를 외치며 권력을 장악한 히틀러는 같은해 10월 제네바군축회의 결과에 대한 불만으로 국제연맹을 탈퇴했다. 1935년 3월에는 재군비를 선언하고 1936년 3월 라인란트 비무장지대에 진주하여 로카르노조약을 파기함과 동시에 베르사이유조약을 유명무실하게 만들었다. 이를 지켜 본 이탈리아의 무솔리니B. A. A. Mussolini는 1935년 10월 에티오피아를 침공하여 1936년 5월에 전토를 정복했다. 이로 말미암아 에티오피아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던 영국과 이탈리아가 대립하였다.

1936년 11월 독일과 일본은 방공협정防共協定을 체결하였고, 1937년 11월 이탈리아가 이에 가입하여 독일·이탈리아·일본 세 나라는 반소련反蘇聯을 외쳤다. 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는 제국주의적 대립을 나타내면서도, 일면으로는 독일과 이탈리아가 자본주의 공동의 적대국인 소련을 봉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 아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1938년 독일이 오스트리아와 체코를 침공하면서 네 나라의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1939년 독일과 소련이 불가침조약을 맺음으로써 날카롭게 대립하였다. 이로써 세계대전의 발발을 점칠 정도로 국제정세는 요동치고 있었다.

아시아에서도 중국을 둘러싸고 복잡한 상황이 전개되었다. 1931년 만주를 침략한 일제가 만주사변을 마무리 짓기 위해 화북지방으로 침략을 확대했다. 1933년 중국 국민당과 일제 사이에 일제의 만주점령을 사실상 승인하는 당고협정塘沽協定이 체결됨으로써 일시적으로 일제의 중국침략은 중지되었다. 이후 일제는 협조외교노선을 위하여 중국과 친선을 표방했다. 이는 만주침략을 기정사실화하여 중국에 대한 서구열강의 영향력을 배제하려는 속셈이었다. 아울러 당시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의 내전에서 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당의 승리를 우려했기 때문이었다. 즉 소련을 가상적으로 하여 일본의 영향권 안에 두려는 속셈이었다. 일제의 의도대로 국제연맹과 영국·미국 등은 일제의 침략에 대해 아무런 제재도 가하지 않았다.

일제는 중국에 대한 확실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화북지방을 침략하여 괴뢰정권을 세웠다. 일제의 침략에 대해 중국 국민당정부는 소극적으로 대응한 반면 중국인들의 반일의식은 고양되었다. 결국 일제는 1937년 노구교蘆構橋사건을 문제 삼아 중국에 대해 전면전을 벌이는 중일전쟁을 일으켰다.

중일전쟁이 발발한 직후에도 일제의 중국 침략을 둘러싼 국제 환경은 일제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제국주의 열강은 자국 내의 공황 극복에 집중하여 아시아에 간섭할 여유가 없었다. 또한 가능하면 일제의 침략 예봉을 소련공격으로 유도해 보려는 의도에서 일제의 침략을 묵인했다. 소련도 일제의 침략이 자국으로 돌려질 것을 우려하여 제1차 경제계획을 완성하는데 주력함과 동시에 일제와 충돌 회피를 우선 외교방침으로 채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註1)

제국주의 열강은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을 상실할까 우려하여 일제가 중일전쟁에서 완전하게 승리하는 상황은 원하지 않았다. 따라서 제국주의 열강은 일제와 크게 대립하지 않는 범위에서 중국을 지원하고 있었다. 유럽에서는 서로 대립하던 영국·독일·이탈리아가 중일전쟁의 초기 단계에는 모두 중국 국민당정부를 지원하였다. 소련도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의 국공합작을 지원하고 있었다. 즉 중일전쟁이 진행되는 과정을 통해 중국, 그리고 중국을 지원하는 영국·미국·독일·이탈리아 대 일제라는 대립구도가 만들어졌다. 註2)

중일전쟁은 일제의 기대와는 달리 장기전으로 돌입했다. 중국인들이 일제의 침략을 규탄하는 반일 민족의식이 고양되고, 여기에 영향을 받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에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되면서 항일민족통일전선이 성립되었다. 아울러 국제연맹이 일제의 침략을 비난하는 결의를 채택하고, 1936년 일독방공협정을 맺었던 동맹국 독일도 일제의 침략을 비난하는 등 국제여론이 나빠지기 시작했다.

중일전쟁이 장기전으로 빠지자,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일제 국내의 입장은 둘로 나뉘었다. 일제 군부는 소련과 대결을 위해 국민정부와 화평을 주장했다. 반면에 정부는 남경의 괴뢰정권을 이용하여 중국 문제를 해결하자는 입장이었다. 1938년 1월 수상 근위문마近衛文麿는 국민정부를 상대하지 않는다는 제1차 성명을 발표했다. 註3)

1938년 11월 수상 근위문마는 제2차 성명을 발표하였다. 그는 ‘일만지日滿支 삼국 제휴에 정치·경제·문화 등 각 방면에 상호 연환連環관계 수립을 근간으로 하고 동아에 대한 국제 정의의 확립, 공동 방공의 달성, 신문화의 창조, 경제 결합의 실현’을 기하는 동아신질서의 건설을 표방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註4) 하지만 무한武漢·광동廣東을 함락한 후 전쟁이 여전히 교착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수상 근위문마는 2차 성명을 구체화하여 선린우호·공동방공·경제제휴의 3원칙을 내용으로 하는 3차 성명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註5) 이는 중국이 항일전을 포기하고 ‘동아신질서’에 협력만 하면 국민당정부와도 상대하겠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그의 3차 성명이 별다른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자, 근위문마 내각은 총사퇴했다.

1939년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고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에 선전포고를 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다. 1940년 독일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침공하고 프랑스 파리를 점령하였다. 이러한 국제정세에서 일제는 독일을 모방하여 강력한 파시즘체제를 수립하는 이른바 ‘신체제’를 선언했다. 신체제 선언은 중일전쟁의 장기화로 교착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근위문마의 성명 이래 침략전쟁의 이데올로기가 된 ‘동아신질서’ 건설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내 정치체제의 개편안이었다. 註6)

일제는 2차 근위문마 내각이 수립된 후 전쟁 수행에 박차를 가했다. 근위문마 내각의 방침은 전쟁수행을 위한 경제적 토대를 강화하는 동시에 독일·이탈리아와 삼국동맹 체결, 소련과 불가침조약 체결, 동남아시아로 적극적 진출과 미국의 간섭 배제 등이었다. 이러한 방침에 따라 일제가 베트남을 침공하자, 미국은 이에 반발하여 석유와 철강 수출을 금지시켰다. 일제와 미국의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1940년 9월에 일제는 미국의 반발을 견제하고 미국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정치적·경제적·군사적 상호원조를 약속하는 독일·이탈리아와 삼국동맹을 맺었다. 註7) 이듬해 4월에는 소련과 영토보전과 불가침을 존중하고 한 국가가 제3국의 공격대상이 되었을 때는 서로 중립을 지킬 것을 내용으로 하는 불가침조약을 체결했다.

일제에 대한 미국의 석유 수출 금지 조치는 일제의 강한 반발을 불러 일으켰으며, 두 나라의 전쟁은 불가피한 상황에 이르렀다. 한편으로 일제는 미국과 관계 개선이 대동아공영권의 성공을 위한 관건으로 인식하고 미국과 협상을 시도했다. 하지만 미국이 일제에게 인도차이나와 중국의 침략을 중지하고 물러날 것을 요구함으로써 두 나라의 관계개선은 실패로 돌아갔다. 일제는 독일이 유럽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아시아에서는 자신들이 승리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에 일제는 1941년 7월에 인도차이나 남쪽을 침공했으며, 미국은 이에 맞서 미국 내 일제 자산을 동결하는 조치를 취했다. 결국 일제는 같은해 12월에 하와이의 진주만을 침공하여 태평양전쟁을 일으켰으며, 기나긴 전쟁의 수렁에 빠져 들어갔다.


2. 일제의 민족말살정책

1) 내선일체론

일제의 한국 지배의 기본방침은 한국인을 일본사람으로 만든다는 ‘동화同化주의’였다. 1919년 3·1운동 직후 일제는 한국사람과 일본사람을 ‘천황의 적자赤子’로서 전혀 차별을 하지 않고 일시동인一視同人의 입장에서 통치하겠다는 요지의 조서를 발표했다. 이후 동화주의는 한국 지배의 기본입장이 되었다. 이어 1920년 일제 수상이 한국의 식민지지배 원칙으로 동화주의 즉 내지연장주의內地延長主義를 내세우면서 공식화되었다. 1931년 조선총독으로 부임한 우원일성宇垣一成이 내선융화內鮮融和를 표방하면서 동화주의 정책은 더욱 구체화되었다. 이때는 일제가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대륙침략의 거점으로 한국을 재편성할 필요성이 절박했기 때문이었다. 註8)

일제는 1920년대 말부터 1930년대 초에 걸친 경제공황으로 큰 타격을 받으면서 국내 모순이 심화되었다. 일제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만주를 자본투자시장으로 확보하고 일본·조선·만주 블록체제를 만들고자 했다. 1931년 만주침략을 계기로 일시적으로 위기를 모면했으나, 계속 무역적자가 커지면서 모순은 심화되었다. 다시 일제는 군수산업을 중심으로 중화학공업을 육성하여 적자를 줄이는 한편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켰다.

일제는 침략전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안정과 한국인의 동원이 필수적이라고 인식했다. 이를 위해 일제는 국내의 민족운동을 탄압하고 한국인을 통제했다. 나아가 효율적으로 한국사람을 전쟁에 동원하기 위해 황국신민화정책을 적극 펼쳤다. 일제가 한국사람에 대한 동원 이데올로기로서 내세운 것이 ‘내선일체內鮮一體’였다. 내선일체는 민족차별이라는 한국인의 불만을 해소하고 전시 동원에 대한 한국인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전시의 자발적 동원을 이끌어 내기 위한 이데올로기였다. 즉 한국인의 황국신민화에 의한 내선의 일체를 한국지배의 근본으로 하고, 이를 통해 한국을 병참기지화하여 궁극적으로 아시아 침략을 실현한다는 것이었다. 註9)

내선일체론이 식민지지배정책의 이념으로서 정식으로 등장한 시기는 남차랑南次郞이 조선총독으로 부임할 당시였다. 그는 조선총독으로 부임한 직후 국제정세를 분석한 결과 만주국과 한국의 역할을 인식하고 ‘국체명징國體明徵’·‘선만일여鮮滿一如’·‘교학진작敎學振作’·‘농공병진農工竝進’·‘서정쇄신庶政刷新’의 5대강령을 식민지지배의 기본방침으로 밝혔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남차랑은 내선일체가 한국지배의 근간이며, 그 위에 서있을 때야말로 5대강령도 한층 새로운 의의를 띠며 그 실적을 거둘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註10)

남차랑은 조선총독으로 부임할 당시 일제 천황의 한국방문과 징병제 실시를 한국지배의 2대 목표로 설정했다. 이것은 한국사람이 완전히 일본사람이 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즉 ‘완전한 황국신민’이 되지 않으면 실현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는 우원일성이 주창했던 내선융화나 내선평등과 같은 상대적 관계가 아니라 일본국체를 기초로 한 유기적이고도 내면적인 일체론이라는 보다 강화된 형태의 지배이념을 주장했다. 내선일체론은 중일전쟁 발발 이후 대륙전진병참기지라는 군사적·경제적 요구에 입각한 현실론적 명제라고 보았다. 내선일체론은 이후 등장하는 모든 정책과 식민지지배를 총괄하는 이념으로 자리 잡았다.




일제가 동화라는 명분으로 전국에 세웠던 '내선일체' 비석


내선일체론은 일본의 역사가 끊임없이 황국신민을 창성創成하는 역사라고 규정하면서 과거의 역사가 실증하는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즉 신화시대 이전부터 일본과 한국은 하나였으며, 인류학·생물학·고고학이나 민속학을 보더라도 두 나라는 일체였다고 강변하였다. 아울러 내선일체가 장래의 목표이며 유일한 목표로써 필연이라고 보았다. 또한 내선일체를 세계의 대세로 규정하고 일본은 대동아공영권의 건설을 임무로 삼고 있는데, 이는 동양 고래古來의 사회사상에 근거한 것이라고 밝혔다. 즉 안으로는 내선일체의 결실을 맺고, 밖으로 일제를 맹주로 하는 ‘아시아 사람의 아시아’를 건설하는 것이 세계평화 확립의 거점을 건설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註11)

국민총력조선연맹國民總力朝鮮聯盟과 녹기연맹綠旗聯盟의 간부였던 진전강津田剛은 내선일체는 한국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본과 세계에 특수한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일본과 한국의 일체를 세계에 확대시키고자 했다. 그와 함께 녹기연맹의 간부로 활동한 삼전방부森田芳夫는 한국이 일본의 아시아 침략의 중요한 기지이기 때문에 내선일체가 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내선일체를 근위문마 수상이 주창한 ‘동아협동체’와 연결시켰다. 즉 일제 천황을 추축으로 하는 ‘동아협동체’ 건설의 첫 단계가 내선일체의 완성이며, 이것이 실현될 때 한국은 아시아에서 일본 다음으로 서열이 주어진다고 주장했다. 내선일체가 완성되지 않으면 동아협동체의 건설은 불가능하고, 동아협동체의 근저가 붕괴되어 버린다는 강변을 서슴지 않았다.

일제는 겉으로 내선일체·민족차별 폐지 등을 내세우면서도 민도의 차이와 황민화 정도의 차이를 내세우면서 여전히 차별을 계속했다. 태평양전쟁에서 승승장구할 때 일제의 기세는 더욱 드세어 우월감과 차별의식은 더욱 강고해졌다. 일제는 내부적으로 “내선일체의 이념이 내선평등의 관념과 혼동·오해되어서는 안된다”고 말할 정도로 내심으로는 여전히 차별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한국인을 전쟁에 동원하기 위한 보다 강화된 동화정책의 ‘구호’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 내선일체론은 일제가 한국인의 불만과 민족의식을 희석시키고, 침략전쟁에 효율적으로 동원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나온 이데올로기에 불과할 뿐이었다.


2) 황국신민화정책의 강화

일제는 1938년 중일전쟁이 교착상태에 빠지고 장기화되자 전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본국에 ‘국가총동원법’을 공포하고, 이를 한국에까지 확대시켰다. 이는 침략전쟁으로 국가의 총력을 집중하기 위해 물자·산업·인원·단체·근로조건·교육 등 모든 인적·물적자원을 통제하고 동원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일제는 이른바 거국일치擧國一致·견인지구堅引持久·진충보국盡忠報國 등을 전면에 내세우고 이를 주도할 조직으로 국민정신총동원중앙연맹을 결성하였다. 1938년 7월 중일전쟁 발발 1주년이 되는 날에 한국에도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을 결성하여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펼치며 침략전쟁을 위한 총력체제로 몰아갔다.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목표는 한국인의 황국신민화를 통한 내선일체화, 일제의 전시국책사업 협력, 조직과 협력을 통한 전시체제의 확립이었다. 이 단체의 목표 가운데 핵심은 내선일체였다. 일제는 일본사람과 한국사람을 차별 없이 똑같이 사랑한다는 이른바 일시동인을 주장했다. 이를 바탕으로 내선일체를 기조로 하는 통치 방침을 철저히 하고 한국인의 황국신민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중일전쟁이 장기화되고 어려움이 날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력의 요소 가운데 정신·사상의 힘이 군사력과 경제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았기 때문이었다. 註12)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조직은 먼저 중앙의 조직으로 조선연맹이 있었다. 조선연맹은 형식적이지만 국내의 각 단체와 개인이 중심이 되어 조직된 민간단체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조선총독부가 주도권을 장악하고 조직의 운영을 좌우했다. 둘째로 각 지방에는 지방연맹이 있었다. 지방연맹은 도·부군도·읍면·정동리 부락으로 지방관제와 같은 단계로 결성되었다. 또한 국민정신의 앙양과 후방보국의 지표 아래 건전한 단체 생활을 하게하고, 지식계급의 반성과 자각을 촉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관공서·학교·은행·회사 기타 여러 단체의 연맹이 결성되었다. 셋째로 가정 단위로 애국반이 조직되었다. 애국반은 정동리 부락동맹과 각종 연맹 아래 열 가구를 하나의 단위로 결성되었다. 애국반은 전시체제하에 국민생활 개선의 기준 등의 실행을 서로 감시하게 하고, 각 가정의 사생활까지 감시하는 활동을 했다.

1940년에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은 일제 본국의 영향을 받아 국민총력운동으로 전환했다. 일제는 근위문마 수상이 중심이 되어 추진해온 신

체제 수립운동의 결실로서, 총력전을 치르기 위해 일국일당제一國一黨制를 실현시키려는 군부에 대항하여 각계각층의 유력 인사를 결집해 강력한 국민조직을 만든다는 취지 아래 대정익찬회大政翼贊會를 결성하였다. 한국에서도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이 일제 본국의 국민총력운동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국민총력조선연맹으로 전환했다.

국민총력운동은 한국사람의 황국신민화를 중점에 둔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계승하고, 조선총독이 국민총력조선연맹의 총재로 취임한 데서 드러나듯이 그나마 형식적인 민간단체의 성격마저도 완전히 사라졌다. 또한 농촌진흥운동을 비롯한 여러 운동과 기존의 각종 운동 단체를 해산하고 국민총력운동으로 일원화했다. 1945년 7월 일제는 태평양전쟁이 패전으로 치달을 무렵 전쟁의 마지막 몸부림으로 국민총력조선연맹을 해체하고, 이를 국민의용대 중앙본부로 개편했다. 註13)

한편 일제는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핵심목표인 내선일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인에게 지원병제도를 실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조선총독 남차랑은 지원병제도가 한국지배와 한국인 자각수양의 도달점이며, 내선일체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밝혔다. 아울러 한국인이 지원병이 되면 철저한 정신교육으로 한국사람을 균등하게 황화皇化로 윤택할 수 있으며, 국방력의 증강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보았다. 지원병제도는 한국인에게 병역을 부여함으로써 한국인의 자발성을 끌어내고 중일전쟁의 장기화에 따른 부족한 병력을 증강할 수 있다는 속셈에서 나왔다. 나아가 지원병이 제대한 후에는 이들을 청장년층의 중견인물로 육성하여 향촌에 미치는 유무형의 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즉 전쟁 후 효과적인 한국지배를 염두에 두고 마련한 제도였다. 註14) 이를 위해 일제는 1938년 4월에 17세 이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특별지원병제도를 실시했다.

1942년 5월에 일제는 날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던 태평양전쟁에 한국인을 강제로 동원하기 위해 1944년부터 지원병제가 아닌 징병제 도입을 결정하였다. 조선총독부는 호적정비, 일본어 보급 및 청년적령자의 연성 등의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 같은해 10월에는 징병 적령자를 일제히 신고하도록 했다. 국민총력조선연맹의 애국반이 동원되어 실시된 이 사업에서는 적용 대상자의 95%인 25만 8천여 명이 신고되었다.

일제는 징병령 시행 후 군복무에 필요한 자질의 단련을 목적으로 중등학교 이상에는 현역 장교를 배속시켜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국민학교 졸업자는 청년훈련소, 이를 수료하지 못한 자는 청년특별훈련소에 입소시켰다. 이러한 준비과정을 거쳐 1944년 4월에 징병제가 실시되면서 한인 청년들이 전선에 동원되었으며, 그 수는 1944년부터 1945년까지 20여만 명에 이르렀다.


3) 조선교육령의 개정

일제는 내선일체를 달성하기 위해 지원병제도와 더불어 학교를 쇄신·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인식했다.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대야록일랑大野綠一郞이 ‘통치 즉 교육, 교육 즉 통치’라고 할 정도로 황국신민화정책 가운데 가장 중심을 이루는 것이 교육이었다. 註15) 일제는 황국신민화교육을 보다 철저하게 실시하기 위해 1938년 3월 ‘조선교육령’을 개정하고 교육목표로 국체명징國體明徵·내선일체·인고단련忍苦鍛鍊의 3대 정신강령을 내걸었다. 註16)

개정된 조선교육령의 내용은 종래의 일본어 상용과 일본어를 상용하지 않는 학교의 제도구별을 철폐하고, 일본과 똑같은 소학교령·중학교령·고등여학교령에 따라 완전한 일본인으로 만들기 위한 획일적인 교육을 추진하였다. 즉 종래의 학교 이름인 보통학교·고등보통학교·여자고등보통학교를 각각 소학교·중학교·고등여학교라 고치고, 교과서와 연한도 같게 했다. 아울러 교수과목·교과목·교과과정 등은 조선어 이외의 것은 일본과 동일하게 하였다. 註17)

개정된 조선교육령은 일본과 한국의 교육제도를 형식적으로 동일화시켰지만, 일본인 학교와 한국인 학교는 그대로 유지되어 일본인과 한국인 학생이 같은 학교에서 교육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본질적으로는 일본어에 의한 교육, 사상통제의 강화, 전쟁에 대한 협력, 황국신민의 단련강화 등을 내용으로 교육을 철저하게 통제하여 황국신민을 육성하겠다는 입장이었다.

1943년에 일제는 또다시 ‘조선교육령’을 크게 개정했다. 주요내용은 국민학교·중등학교·고등·전문학교·사범학교 교육을 체계화하고, ‘황국의 도’에 입각한 국민연성이라는 일관된 교육 목적을 명시했다. 특히 국민교육의 근간인 초등교육의 교사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범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사범교육기관을 확대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일제는 ‘두뇌가 우수한 자보다는 내선일체 이념에 투철한 인물’을 교사로 채용했다. 註18) 아울러 학생들을 전시에 효과적으로 동원하기 위해 군사교육과 노무동원을 대폭 강화하고, 수업 연한을 단축했다. 일부 사범학교 교육을 제외하고 형식적으로 한국인에 대한 교육은 일본의 교육과 완전히 동일한 제도와 내용을 갖추었다.

일제는 지원병제도 실시 및 조선교육령 개정과 더불어 창씨개명으로 모든 한국인을 보다 완전한 황국신민으로 만들고자 했다. 일제는 1939년 11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하여 한국인 성명을 폐지하고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설정했다. 이를 시행하기 위해 1940년 2월부터 같은해 8월 10일까지 ‘씨氏’를 결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다. 조선총독부는 관헌을 동원해서 협박과 강요로 이를 시행하고자 했다. 창씨를 하지 않는 사람의 자제에게는 각급 학교의 입학을 거부하고, 창씨하지 않는 사람에 대해서는 ‘비국민’·‘불령선인不逞鮮人’으로 간주하고 사찰과 미행을 마다하지 않았다. 나아가 노무징용의 우선 대상으로 하거나 식량 등의 배급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갖은 사회적 제재를 가했다.

일제는 한국인 정신을 통제하기 위해 신사참배를 더욱 강요하였다. 일제는 1919년 3·1운동 이후 스스로 국조라 일컫는 천조대신天照大神을 제신祭神으로 하는 조선신사朝鮮神社를 건립했다. 1925년에 조선신사를 조선신궁朝鮮神宮으로 개칭했으며, 이후 면마다 신사를 세우도록 하고 신사참배를 강요했다. 1939년에는 그들과 인연이 깊던 백제의 옛 수도인 부여를 내선일체가 구현되고 결실된 일대 유연由緣의 땅이라는 억지 주장을 하며 한국인을 대대적으로 동원하여 부여신궁扶餘神宮을 건립하자고 했다. 나아가 매월 1일을 애국일로 정해 애국반 단위로 각 신사를 참배토록 했으며, 이외에도 국기 게양, 황국신민서사 제창 등을 강요하였다.

[註 1] 강동진, 『일본근대사』, 한길사, 1985, 368~369쪽. ☞

[註 2] 이준식, 「파시즘기 국제정세의 변화와 전쟁인식」, 『일제하 지식인의 파시즘체제 인식과 대응』, 혜안, 2005, 104~105쪽. ☞

[註 3] 『동아일보』 1938년 1월 17일자. ☞

[註 4] 『동아일보』 1938년 11월 3일자. ☞

[註 5] 『매일신보』 1938년 12월 23일자. ☞

[註 6] 전상숙, 「일제 군부파시즘체제와 ‘식민지 파시즘’」, 『일제 파시즘 지배정책과 민중생활』, 혜안, 2004, 31쪽. ☞

[註 7] 강동진, 『일본근대사』, 403~409쪽. ☞

[註 8] 최유리, 『일제 말기 식민지 지배정책연구』, 국학자료원, 1997, 18~19쪽. ☞

[註 9] 최원규, 『일제말기 파시즘과 한국사회』, 청아, 1988, 164~165쪽. ☞

[註 10] 宮田節子 저(이형랑 역), 『조선민중과 「황민화」정책』, 일조각, 1997, 161쪽. ☞

[註 11] 최유리, 『일제말기 식민지 지배정책연구』, 28~31쪽 ; 최원규 엮음, 『일제말기 파시즘과 한국사회』, 168~169쪽. ☞

[註 12] 최유리, 『일제말기 식민지 지배정책연구』, 86~87쪽. ☞

[註 13] 『매일신보』 1945년 7월 7일자 ; 최원규, 『일제말기 파시즘과 한국사회』, 181~185쪽. ☞

[註 14] 최원규, 『일제말기 파시즘과 한국사회』, 188쪽. ☞

[註 15] 『동아일보』 1939년 6월 10일자. ☞

[註 16] 『조선총독부 관보』 제3376호(1938년 4월 20일자). ☞

[註 17] 『조선총독부 관보』 호외(1938년 3월 15일자). ☞

[註 18] 『동아일보』 1939년 6월 10일자 ; 변은진, 「일제말 전시파쇼체제하 학생민족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적 성격」, 『국사관논총』 67, 국사편찬위원회, 1996, 207~208쪽. ☞


2. 친일세력의 국제정세 인식과 친일논리

1930년대 후반 한국인들은 긴박하게 전개되는 국제정세를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었다. 국제정세의 변화는 한국의 장래와 직결되어 있다고 인식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향후 국제정세의 추이와 결과, 그리고 이것이 미칠 영향에 대한 인식은 달랐다. 이는 자연스럽게 활동의 차이로 이어졌다. 일부는 중일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은 한국의 장래에 유리하게 전개될 것이라고 인식하고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했다. 특히 국외에서 활동하던 이들은 그동안의 분열을 극복하고 연합하여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하지만 국외에서와는 달리 국내에서 이러한 부류에 속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여기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지만, 무엇보다 일제의 철저한 언론통제로 일제에게 유리한 전황만 전해져 정세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국제정세에 직면하여 대응한 또 하나의 부류는 국제정세가 조선에게 유리하게, 혹은 불리하게 작용하게 될 것이라는 인식과 상관없이 시종일관 침묵과 은둔으로 일관했다. 이와는 달리 일부는 일제가 전쟁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한국독립은 불가능하다고 인식하였다. 나아가 세계질서가 재편성되는 과정에서 일제의 국제적 위상은 높아지고 한국에게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인식으로 이어졌다. 이들은 일제가 주창한 내선일체의 실현으로 모아져야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일제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이러한 부류에 속하는 대표적인 지식인은 이광수李光洙·윤치호尹致昊·김두정金斗禎·현영섭玄永燮·인정식印貞植 등이었다. 이들의 인식과 활동은 일반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이 국제정세와 한국독립에 대해 어떻게 전망하고 인식했는지, 그리고 일제가 주창한 내선일체론을 어떻게 인식하고 친일의 길로 가게 되었는지를 다루고자 한다.


1. 국제정세의 인식

1930년대에 유럽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급변하는 국제정세에 대해 한국인은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일제가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개되는 국제정세의 변화는 한국 장래와 직결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지식인들은 일제가 일으킨 만주사변과 독일·이탈리아의 국내외 동향과 대응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웠다. 이들은 신문과 잡지 등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발표하고 향후 진로를 모색하는가 하면 어떤 이들은 구체적인 활동을 펼쳤다.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 무엇보다 한국의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준 사건은 전쟁이었다. 지식인들은 중일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 그리고 태평양전쟁의 전황과 전쟁이 끼칠 영향을 파악하기에 분주했다. 특히 지식인들은 세계대전의 서막이라 할 수 있는 중일전쟁을 주목하였다. 당시 대표적인 지식인으로 손꼽혔던 이광수의 인식에서 중일전쟁이 얼마나 큰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 수 있다.

이광수는 중일전쟁을 ‘세계의 역사에 일一 신기원新紀元을 획劃할만한 대사건’이자, ‘고집 센 내 마음의 문을 열어준’ 사건으로 평가했으며, 아시아의 장래 운명과 일본의 국가적 의도 및 정신을 보여 주었다는 속내를 드러냈다. 註19) 이광수는 이미 중일전쟁이 발발하기 이전에도 일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깔려 있었지만, 중일전쟁 발발 이후에는 더욱 분명하게 드러났다. 지식인들은 이광수처럼 중일전쟁 초기 전쟁의 추이에 주목하면서 앞으로 전개될 국제정세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이광수를 비롯한 지식인들은 중일전쟁 이후 당시 세계적으로 대두하고 있던 블록화 경향에 주목했다. 먼저 전시체제하 가장 대표적인 내선일체단체였던 녹기연맹 간부로 활동했던 현영섭은 1920년대 이전에는 다수의 국가가 난립하며 서로 대립했던 것이 국제관계였지만, 1930년을 계기로 여러 국가가 하나의 집단으로 연합하여 블록을 구성하는 경향이 역사의 필연적인 흐름이라고 인식했다. 그는 세계의 블록화 경향으로 가까운 장래에 네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그가 전망한 네 개의 블록은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소련블록, 북미합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아메리카블록, 유럽 제국을 포함하는 유럽블록, 그리고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만주국·중국과 그밖의 태평양 제국을 포함하는 동아블록이었다. 그는 네 개의 블록 가운데 소련블록은 이미 완성되었으며, 나머지 세 개의 블록은 진행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제 주도의 동아블록을 완성하기 위해 아시아의 물질적 생산력의 증대와 여러 민족의 강고한 결합이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고 주장하였다. 註20)

인정식도 현영섭과 마찬가지로 향후 세계는 네 개의 경제 권역으로 분할될 것이라는 이른바 네 개 권역론을 주장했다. 인정식은 조선공산당

당원과 기자로 활동하다가 1938년 전향하여 전향자들이 중심이 되어 반공산주의와 일제의 대국가주의 사상을 추종하며 활동하던 단체인 대동민우회大東民友會 간부로 활동하고 있었다. 그는 유럽에서는 독일과 이탈리아가 중심이 되는 구주권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소련권역이 성립될 것이라고 보았다. 미주米洲에서는 남북 아메리카를 통일한 미주권역이 결성될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아시아에서는 일제가 주도하는 동아의 신질서권이 확립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註21)

이광수는 앞서 언급한 중일전쟁에 대한 소회에서 보듯 중일전쟁을 전환점으로 아시아는 구시대가 무너지고 중국을 비롯하여 인도차이나·남양군도를 포함한 대동아공영권이 건설되고 있다고 보았다. 이 과정에서 인도·이란·이라크 등 서아시아 여러 나라도 신질서권 내에 포함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메리카대륙도 가까운 장래에 재편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국제관계가 여러 소국가들이 소멸하여 두 개 내지 세 개의 대공영권으로 통합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註22)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펼치다가 1935년 전향하여 시국대응전선사상보국연맹時局對應全鮮思想報國聯盟에 가입해 활동하던 김두정도 향후 세계는 아시아블록과 구주블록, 그리고 아메리카블록으로 하는 세 개의 블록으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두정과 인정식은 세계가 블록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아시아는 단번에 블록화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단계를 거쳐 진행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김두정은 아시아에서는 세 단계를 거쳐 아시아 부흥을 이룩한 후 하나의 블록을 형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먼저 신동아 건설이 제1단계이며, 아시아에서 방공防共의 승리가 2단계라고 보았다. 앵글로색슨의 지배로부터 다수의 피압박 여러 민족을 구제하는 3단계를 거쳐 아시아의 부흥이 완수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두정은 이어 아시아의 부흥으로 블록화 되는 과정에서 일본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아시아의 부흥을 위해서는 먼저 일본이 아시아 피압박 여러 민족을 백색인종의 지배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정치적 원조를 하고, 다음으로 아시아 경제블록을 완성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나아가 아시아의 문화를 재건하고, 아시아 전역에서 방공적 사명을 완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이 아시아가 부흥하면 아시아는 문화적 건설이나 무력적 정복에서 과거처럼 다시 세계를 주도하는 지위에 서게 될 것이며, 아시아 부흥이 완성될 때 세계는 세 개의 블록으로 재편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註23)

인정식은 아시아에서 동아신질서의 개념은 국제정세의 급격한 추이에 따라 지리적 내용이 확대·발전한다고 보았다. 그는 독일이 프랑스를 함락하기 전까지 동아의 신질서는 일본·만주·중국 세 국가를 포함했지만, 현재는 세 국가를 포함한 지역적 범위에서 다시 확대되어 인도·인도네시아·태국·필리핀·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괄한 동반구東半球의 대부분을 포함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와 같이 지역적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동아신질서란 개념도 다시 동아공영권의 확립이란 표어로 확대 전화되었다고 보았다. 註24) 이처럼 지식인들은 블록의 형성시기에 대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했지만, 블록화는 머지않은 장래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보았다.

지식인들은 세 개 내지 네 개로 재편되는 블록화에 그치지 않고 점차 동서 양대 블록의 구성으로 나아갈 것이며, 궁극적으로 일본중심의 아


일제의 침략전쟁을 높이 평가하였던 이광수와 윤치호


시아에 의해 세계 통일로까지 이어진다고 전망했다. 현영섭은 네 개의 블록 가운데 아메리카·독일·러시아가 하나의 블록을 형성하고, 일본 이하의 유색인종이 일치단결하여 또 하나의 블록을 형성하여 세계가 이분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註25) 나아가 세계는 하나의 단위로 통합될 것이라 전망했다. 현재는 과도기로서 대국가의 형성과 블록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그는 대국가주의의 득세를 증명하는 실례로서 독일·이탈리아의 스페인 진출, 독일의 오스트리아·체코슬로바키아의 병합과 메이메르지방 점령,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와 알바니아의 병합 등을 거론하였다. 이로써 민족자결주의, 즉 소국가주의의 원리는 사실상 붕괴했으며, 현대의 경향은 대국가주의의 길이라고 파악하였다. 註26)

윤치호는 당시 국제정세를 황인종과 백인종 특히 앵글로색슨족과 대결 구도로 파악하고 일제가 승리하기를 간절히 바랬다. 그의 인식은 자신이 중국·미국 유학시절에 직접 목격했던 백인들의 인종 차별에 대한 기억과 한국주재 선교사들과 외국인들의 백인 우월주의로 인해 모멸감을 느낀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註27) 그는 히틀러의 침략전쟁이 앵글로색슨족의 오만을 꺾는 훌륭한 일이며, 러시아 침공도 인류 역사상 미증유의 천벌이라 할 수 있는 볼셰비즘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일제가 일으킨 태평양전쟁을 황인종 대 백인종의 진정한 인종간의 전쟁으로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전쟁이며, 일본이 백인종 특히 앵글로색슨족의 인종적 편견과 민족적 오만, 그리고 국가적 침략으로부터 유색 인종을 해방시키는데 성공하기를 기원하였다. 註28)

이광수도 윤치호와 마찬가지로 일제의 침략전쟁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일본이 침략전쟁을 일으킨 목적은 미국과 영국의 ‘악마주의’에 의해 유린된 아시아 민중을 구하고 아시아의 정신적 전통에 기반하여 도의적道義的 평화세계를 세우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註29) 즉 일본의 침략전쟁을 근대국가 사이의 제국주의 전쟁이 아니라 서구 대 아시아의 인종전쟁·문화전쟁으로 규정했다. 그는 이 전쟁에서 문화적으로 우월한 아시아, 곧 일본이 승리할 것을 확신했으며, 이는 근대사회 이후 서구에 의해 지배를 받아 온 아시아의 해방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았다. 註30)

이광수의 인식은 서구제국주의는 구질서이며, 일본의 황도주의皇道主義는 신질서라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인류 세계의 공적·개인주의·자유주의·이기주의·공리주의·유리주의·화폐주의·황금주의·이기적 침략주의·축생아귀주의·자본주의·제국주의’ 등을 구질서로 규정했으며, ‘팔굉일우의 도의 세계·국민주의·만방공영·공존공영·황도주의·이상주의·도의주의’ 등이 신질서라고 규정했다. 이광수는 신질서의 구체적인 표현이 대동아공영권이며, 대동아공영권의 건설은 전 인류의 역사에 전례가 없는 대이상大理想이며 대경영大經營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영국을 비롯한 식민지의 질곡에서 아시아를 해방하여 팔굉일우의 황도문화사회皇道文化社會 중에 행복과 번영을 오래 누리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註31)

김두정은 18세기는 앵글로색슨을 중심으로 하는 백인종의 전성시대였지만, 20세기부터는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황인종 전성시대로 세계사가 전환해 가고 있다고 파악했다. 즉 아시아 부흥과 국제적 방공공작과 튜런Turan운동 註32)의 영도를 통한 팔굉일우의 대이상의 실현에 매진하는 일본의 세계적 지위는 세계사적 전환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이해하였다. 註33) 현영섭은 인류의 발전방향이 일본과 조선이 하나의 민족이 되고, 나아가 일본과 중국이 하나의 민족이 되는 단계를 거쳐 아시아와 유럽이 하나의 민족이라는 세계일가世界一家의 국가로 나아가 하나의 세계, 하나의 민족이 될 것이라고 이해했다. 註34)

이처럼 한국 지식인들은 중일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 그리고 태평양전쟁을 통해 세계의 블록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전쟁이 끝난 후에는 동양과 서양, 황인종과 백인종의 양대 구도가 형성될 것이라고 보았다. 심지어 양대 구도도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가 세계를 주도하여 하나의 민족과 하나의 세계로 나아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2. 한국독립에 대한 전망

지식인들이 세계는 블록화되고 궁극적으로 일본이 세계를 통일할 것이라는 인식은 한국독립에 대한 전망과 가능성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지식인의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친 중일전쟁이 발발하기 이전에도 한국독립이 불가능하다고 인식하는 이들도 있었다. 윤치호와 이광수는 이러한 인식을 드러낸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윤치호는 한국인은 독립국가를 유지해나갈 만한 실력이 없다고 판단하고 모든 유형의 독립운동을 반대했다. 그는 1919년 3·1운동이 준비되고 있을 무렵에 참여해 줄 것을 권유를 받았지만, 국제정세가 한국에 유리하게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참여하지 않았다.

윤치호의 인식은 국제정세의 분석에서 비롯되었지만, 본질적으로는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불신에서 나왔다. 그는 조선시대의 역사와 전통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한국인의 민족성이 열등하다고 믿는 시각이 깔려 있었다. 그는 조선시대의 문치주의 때문에 조선의 국력이 약화되었으며, 관官을 지나치게 숭배하는 열기 때문에 신성한 노동을 경시하는 풍조가 조장되어 사회경제의 발전을 가로막았다고 이해했다. 그는 또 조선사람들의 실패가 게으름·불결함·허위·이기심·공공정신과 단결력의 결여·분파주의·지역감정 등 조선사람들의 저열한 민족성에서 비롯되었다고 믿었다. 註35)

윤치호는 조선인들이 능력과 능률면에서 일본사람을 따라잡으려면 수백 년이 걸릴 것이며, 조선사람들이 이타주의利他主義 정신을 배우기 전에는 일본사람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설사 일본이 한국인에게 독립국가를 운영하도록 모든 현대적 발전과 함께 정부를 넘겨주더라도 한국인은 오로지 파벌투쟁과 살육을 일삼을 것이라고 인식했다. 註36)

이광수도 윤치호와 마찬가지로 한국이 식민지로 전락한 원인을 한국인 내부에서 찾았다. 그는 한국인이 거짓말을 한다는 것, 책임 관념이 희박하다는 것, 이기적이라는 것, 고식적姑息的인 수단을 좋아하는 것, 불친절하고 의리가 강하지 못하며 은혜를 잊는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나아가 허위·나태·비사회성 등 잘못된 민족성으로 민족이 쇠퇴했으며, 한국독립도 어렵다고 믿었다. 註37)

윤치호와 이광수는 한국이 독립을 하기 위해서는 당장의 독립운동보다는 민족성을 개조하고 실력을 쌓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윤치호는 한국인에게 가장 시급한 것은 독립운동이 아니라 개개인의 인격수양에 의한 민족성 개조, 즉 성실·정직·신용·공공정신·노동존중 정신 등의 덕목을 함양하여 민족성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그는 일본인의 청결·근면·능률·단결력 등 우월한 민족성이 바탕이 되어 발전했으며, 한국인은 이러한 민족성을 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註38) 일제가 1931년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이듬해 만주국을 수립하는 등 국제적인 위상이 높아지자, 두 사람은 한국독립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민족성 개조와 실력양성의 여부에 따라 한국독립의 가능성을 타진했던 인식과는 달리 한국과 일본의 정치·경제의 상관관계 때문에 한국독립이 불가능하다고 인식하는 이들도 있었다. 현영섭은 한국은 일본의 일부로서 이미 일본의 정치·경제에 제약되어 있으며, 한국경제의 90%가 일본경제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한국의 존립 자체는 일본과 긴밀한 연결 속에서 성립하고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떨어지는 것, 즉 한국독립은 죽음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註39)

현영섭의 이러한 인식은 자연스럽게 모든 민족운동의 사상과 이념을 불합리하고 불가능하다는 인식으로 이어졌다. 그는 민족주의 사상이 하등의 과학적 배경을 가지지 않은 제멋대로의 감정으로 민중의 무지에 호소하는 것에 불과하며, 민족주의 세력도 끊임없는 파벌싸움으로 스스로 세력이 약화되었다고 비판했다. 심지어 민족주의자의 지배를 받아야 한다면 차라리 죽음을 택하는 편이 좋을 것이라는 극언도 서슴치 않았다. 그는 사회주의운동에 대해서도 조선에서 자란 성향을 발휘하여 배일적排日的이 되거나 혹은 섹트주의sect主義, 파벌주의가 되어 전 조선에 걸친 통일체를 형성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아나키즘에 대해서도 하나의 항의로는 될 수 있지만, 정치를 실제로 움직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평가했다. 또한 아나키즘이 민족주의에 경도되어 폭력수단을 통해 일본으로부터의 이탈을 꾀한 점은 큰 결점이라고 비판하였다. 註40)

한편 사회주의자들은 중일전쟁이 발발한 직후에는 전쟁이 한국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인식했다. 이들은 일제가 일으킨 중일전쟁과 전시경제로의 전환을 일제의 ‘경제적·정치적 파멸위기’로 규정하고 적극적인 활동에 나섰다. 또한 중일전쟁을 일본과 중국의 전쟁을 뛰어넘는 국제적 차원의 반파시즘 전쟁으로 규정했으며, 여기에서 일제의 궁극적인 적은 중국이 아니라 반파시즘 전선을 이끌면서 직접적으로 중국을 지원하고 있는 소련이라고 판단했다. 이러한 인식은 소련과 일본의 전쟁에 대한 기대로 이어졌다. 사회주의자들의 기대는 다가올 소련과 일제의 전쟁에서 소비에트를 옹호하여 일제의 패전을 돕는 동시에 소련의 지원하에 한국에서 혁명을 일으켜 일제를 타도하겠다는 전략을 담고 있었다. 실제로 사회주의운동은 중일전쟁이 일어난 직후 일시적이었지만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중일전쟁은 사회주의자들의 예상과는 달리 일본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결정적 위기에 빠질 것으로 기대했던 일제는 오히려 전선에서 승승장구하며 중국대륙을 장악해 나갔다. 註41) 특히 1938년 10월 일본군이 중국의 무한과 광동지역을 장악하고, 중국 국민당정부는 전쟁이 시작된 지 일 년만에 대륙의 주요 부분을 잃고 북서부 산간내륙지방으로 쫓겨가는 상황이었다.

인정식은 중일전쟁의 전황을 보면서 중일전쟁은 중국이나 일제 양 측 모두에게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녹기연맹과 황도학회皇道學會의 간부로 활동하던 이영근李泳根이 ‘조선 사상객의 전향이 가장 격심했던 시기’였다고 언급할 정도로 이때부터 사회주의자들은 대거 전향하였다. 註42) 사회주의자들의 전향은 사회주의 이론상 오류와 이로 인한 개심改心, 구금의 고통 등의 원인도 작용했지만, 당시 국제정세의 변화가 크게 작용했다. 이는 1938년 후반기부터 1939년 후반기까지 일 년 사이에 전향한 공산주의자 658명 가운데 46%에 해당하는 300명이 사상전향의 원인을 중일전쟁에 따른 시국인식에 따른 것이라는 결과에서도 잘 나타난다. 註43) 조선총독부도 ‘제국의 의연한 태도와 황군의 압도적 전승에 의해 현저히 시국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하고 자기의 미력 내지 다른 나라 힘의 박약함에 의존하기 어려움을 통감’하여 ‘불온사상을 개조함에 이르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註44)

사회주의자들의 전향에는 소련에 대한 실망도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국제적으로 파시즘이 성장하고 중일전쟁에서 승승장구하는 일본을 보고도 소련은 중국전쟁을 통해 일본을 중국과의 전쟁에 묶어놓으려는 데 몰두할 뿐 직접적인 개입을 삼가고 있었다. 또한 1938년 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가 소련의 견제를 목적으로 체결한 ‘뮌헨협정’에 의해 반파시즘인민전선의 구축이 실패로 돌아갔다. 註45) 특히 1939년 소련이 전쟁을 절대 회피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독일과 불가침조약을 체결했다. 심지어 독일의 폴란드 침공에 대응하여 동부 폴란드를 점령하고 독일과 독소국경우호조약을 맺어 폴란드 분할점령을 합의했다. 이는 소련의 외교정책이 영국·프랑스·미국과의 우호적인 정책에서 이들 국가와 적대적으로 대립하는 일본·독일·이탈리아 우호정책으로 전환함을 의미했다.

이 무렵 소련의 대외정책은 사회주의자들이 소련과 일본 사이에 전쟁이 발발하면 소련을 지지하고 소련의 지원하에 조선에서 혁명을 일으켜 일본을 타도하겠다는 전략을 완전히 저버리는 것이었다. 사회주의자 가운데 일부는 소련의 대외정책을 평화와 전쟁회피, 그리고 제국주의 분열정책의 일환으로 파악하기도 했지만, 註46) 대다수의 사회주의자들은 자연스럽게 소련에 대한 실망으로 이어졌으며, 조선의 독립도 불가능하다는 인식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반해 ‘동아신질서’의 건설을 구상한 제2차 근위문마 성명은 사회주의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인정식은 동아신질서의 건설은 ‘역사적인 최고의 대업으로서 지향’이며, ‘종래의 장기 전쟁에서 금후의 장기 건설에로 이행’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사회주의자들은 동아신질서 구상을 ‘자본주의 경제의 영리주의를 초월한 새로운 제도로 나아갈 것이 요구’된다는 반자본주의적 성격의 혁신정책으로 이해하면서 사상 전향을 했다. 註47)

이 무렵 수양동우회사건으로 구속되었다가 풀려난 이들도 한국독립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인식은 전향성명서에서 잘 드러났다. 이들은 세계 다수의 약소민족들이 점차로 대국가의 산하에 통합되는 필연적 정세에 있다고 국제정세를 판단했다. 따라서 조선사람의 생활은 개인보다도 사회적으로, 민족적 고립보다도 여러 민족의 합작에 의해 발전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민족으로 독립하는 것은 ‘반동적 고립’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註48)

요컨대 일부의 지식인들은 중일전쟁이 발발하기 이전에도 한국독립에 대한 전망을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대다수의 지식인들은 중일전쟁의 발발을 시작으로 제2차 세계대전과 태평양전쟁으로 확산되면서 한국독립에 대한 전망을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심지어 일제의 침략전쟁과 교착상태에 빠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일본이 내놓은 기만적인 구상과 정책을 한국에 유리하게 작용하며 혁신적인 정책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들은 오래지 않아 일제의 침략전쟁과 여러 정책의 본질을 파악했지만, 이것이 한국독립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인식으로 나아가지 못했으며, 오히려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침략전쟁을 적극적으로 지지·지원하는 활동을 펼쳤다.


3. 내선일체론의 인식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지식인들은 전쟁의 발발 원인과 전세의 추이에 주목했다. 일부의 지식인들은 일본의 침략전쟁이 패전으로 끝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대다수의 지식인들은 일본의 승리로 끝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일본군이 무한·광동을 함락한 후 동아신질서를 선언한 근위문마의 2차 성명에 지식인들은 고무되었다. 심지어 지식인들은 중일전쟁의 교착 상태를 모면하기 위해 나온 근위문마의 3차 성명에 대해서도 일본의 승리로 이해했다. 인정식은 일본이 정치적·경제적인 측면에서 유일한 맹주가 되어 주도하는 동아의 재편성 과정을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인식했으며, 註49) 이광수는 일본이 어떠한 장애세력도 제거할 수 있는 실력을 가졌다고 인식했다. 註50)

일본이 침략전쟁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예상은 지식인은 물론 언론계도 예외는 아니었다. 『동아일보』는 사설에서 일본군이 남경南京·무한을 함락한데 이어 한구漢口를 함락함으로써 중국의 국민당정부는 하나의 지방정권으로 전락했으며, 국민당정부에 대한 외국의 지원정책도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전국 곳곳에서는 일본군의 한구 함락을 축하하는 기념식이 거행되었다. 조선총독부는 한구 함락 후 한국인에게 시국을 재인식케 하고, 생활쇄신으로 장기 건설에 매진하는 각오를 보급·확산시키고자 했다. 이를 위해 조선총독부는 고원훈高元勳·김신석金信錫·신흥우申興雨·윤치영尹致暎·이숙종李淑鍾 등 43명으로 하는 강연단을 조직하여 각도에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註51)

일본이 침략전쟁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지식인들의 인식은 동아시아 질서가 재편되고, 일본의 주도하에 세계질서도 재편될 것이라는 인식으로 발전했다. 나아가 이러한 국제정세에서 조선도 일정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졌다. 현영섭과 인정식은 이러한 인식을 가진 대표되는 인물이었다. 현영섭은 한국도 완전한 일본화를 통해 약소 민족이 아니라 웅대한 세계의 통일자가 될 수 있으며, 한국인 중에서도 재상宰相이 나오는 날을 실현할 수 있다는 인식으로 나아갔다. 註52) 곧 일본이 아시아를 제패하고 더 나아가서는 세계를 지배하게 될 제국주의 체제의 중심으로서 일본제국을 통치하는 한국인을 꿈꾸고 있었다. 이는 일본이 주도하는 세계질서의 재편과정에서 일본과 일체화 곧 내선일체가 제기될 수밖에 없었다.

인정식은 동아신질서의 건설은 ‘종래의 장기 전쟁에서 금후의 장기 건설에로의 이행’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장기 건설이란 일본을 유일한 절대의 맹주로 하는 동아의 재편성을 말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경제적 의미의 동아 재편성이란 동아 각 민족의 공존공영을 기조로 하는 일·만·지 블록경제의 확립을 내용으로 하며, 정치적 의미의 동아 재편성이란 이러한 경제적 목표를 확보하기 위한 ‘동아협동체’ 혹은 ‘동아연방체’의 결성을 말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문화적으로는 서구의 문명에 대해서 전통과 성장을 달리하는 동아 민족 공통의 문화를 확보하며 발전·성장하게 하려는데 있다고 보았다.

인정식은 동아협동체의 이상은 한국인의 운명에 중요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한국인이 나아갈 유일의 정치적 노선으로서 내선일체의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내선일체의 필연성은 첫째 일본의 동아제패 상 조선이 점한 대륙병참기지로서의 특수적 지위에서 추출되며, 둘째는 중일전쟁의 진전과 동아협동체 형성과정의 진전에 따른 한국 민중의 국민적 자각과 대륙정책에로 자발적·적극적 협동의 계기이며, 셋째는 향후 정권을 이끌려는 국내의 혁신세력의 대담하고 또 혁신적인 국책에 대한 당연한 기대로부터 오는 계기라고 보았다.

인정식은 일본의 정책에 따라 한국이 병참기지화가 되면 한국은 경제적·정치적·문화적으로 복리와 번영을 약속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조선은 전 민족을 총동원하여 내선일체에 대한 신념과 정열을 바쳐야 한다고 강변하였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한민족은 멸망이 있을 뿐이므로 제국신민으로서 국민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註53) 윤치호도 신동아 건설의 여부는 내선일체의 완성 여하에 달려있다고 이해하였다. 그는 내선일체의 길을 거부하면 한국인의 나아갈 방향은 공산주의 이외의 방향은 없다고 보고, 공산주의를 배제하고 박멸하는 것이 한국인이 행복의 길로 향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註54)

한국이 장래에 복리와 번영을 누리기 위해서는 일본이 주장하는 내선일체론을 적극 지지하고 협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는 가운데, 내선일체론의 당위성을 한국과 일본간의 역사에서 구하는 이들도 있었다. 이광수는 두 민족이 상고上古 때부터 동조동근同祖同根이며, 과거 수천 년간 다른 지역으로 갈라져 생활을 해왔지만, 혈통은 이어져 왔다고 주장했다. 또한 신도神道·유교·불교·미술·공예뿐만 아니라 언어도 일본어에 흡수되어 있는 조선 어원의 말이 많으므로 두 나라는 혈통이나 문화를 볼 때 종형제從兄弟라고 주장했다. 註55) 김두정도 내선일체의 역사적

연관성에 대해 신화적·고고학적·인종학적으로 두 민족의 조상은 같을 뿐만 아니라 수천 년간 동일한 문화를 통해서 성장했다고 보았다. 註56) 동조동근론을 주장하는 이들의 인식은 두 민족이 연합하거나 일체가 되어 대아시아를 건설하고 서구의 침략주의에 대항해야 한다는 인식으로 나아갔다.

이처럼 지식인들은 이구동성으로 내선일체를 주장했지만, 서로의 입장이 같은 것은 아니었다. 내선일체론자들은 내선일체론의 근본 원리에 대한 인식과 구체적인 현실 문제의 대응을 두고 두 가지 입장으로 나뉘어졌다. 하나는 일본사람과 일본의 국체와 문화를 이해하는 소수의 조선사람이 주장하는 ‘철저일체론’ 또는 ‘민족동화론’ 이었으며, 여기에 대표적인 논자는 현영섭·김두정·이광수·박희도朴熙道·김한경金漢卿·박영희朴英熙 등이었다. 또 하나는 한국은 과거에 특수한 역사와 문화를 가졌으며 여전히 그것을 보존한 채 평행하게 제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평행제휴론’ 또는 ‘민족협화론’ 이었으며, 여기에 대표적인 논자는 인정식·차재정·윤치호·김명식金明植 등이었다. 註57)

내선일체론을 둘러싼 두 입장은 1938년 12월에 삼천리사 주최로 개최된 ‘시국유지원탁회의’에서 첨예하게 대립했다. 인정식은 새로운 일본민족으로 통일된다는 것은 결코 한국인이 민족적인 고유성 전반을 상실하는 것이 아니며, 한민족의 고유한 언어와 문화전통, 그리고 민족정신 등은 생활의 일부로서 끝까지 보존되고 발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족동화적 내선일체론자를 겨냥하여 내선일체를 조선어의 폐지, 조선 의복의 착용 금지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자들은 가이없는 인간들이라고 맹렬히 비난했다.

이광수도 내선일체가 한국문화를 말소하는 결과를 낳는다면 그것은 매우 불행한 일이며, 조선어를 폐지하는 정책은 한국인의 감정을 도리어 악화시키므로 한국의 언어와 문화 등은 끝까지 보존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이각종도 한국문화를 말살하고 배척하는 것은 일본이 취할 길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광수는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어를 비롯한 문화를 모두 없애야 하며 철저한 황국신민화를 통한 내선일체를 이루어야 한다는 인식으로 바뀌었다.

현영섭은 과거의 청산은 순결무오純潔無汚하고 타협적인 태도가 아니라 모든 것을 바치는 종교적 태도가 필요하며, 조선이 사수할 개성은 많지 않다고 주장했다. 만약 개성을 너무 견지할 경우에는 내선일체의 이상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언어·풍속까지도 융합일체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註58)

내선일체론을 둘러싸고 일어난 조선 지식인의 공방은 1940년대 초반 일본 내 권력이 변화하면서 큰 영향을 받았다. 1940~1941년 사이에 황실·내각과 군부 사이에 정책을 둘러싸고 갈등이 발생하고, 군부가 내각 기획원에 소속된 일부 민간인들을 체포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註59) 결국 기획원의 10여 명이 코민테른의 인민전선전술을 지지한 혐의로 검거당한 것을 시작으로 대대적인 숙청이 단행되었으며, 그 결과 보수파들이 권력을 장악했다. 註60)

더욱이 근위문마의 유력한 측근의 한 사람이자, ‘동아신질서’를 이론적으로 기초한 미기수실尾崎秀實이 코민테른에서 비밀리에 파견되어 주일 독일대사관에서 근무하던 조르게R. Sorge에게 정부기밀을 제공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었다. 註61) 이로써 일본 내에서 혁신파 주도의 신체제운동도 패퇴했다. 또한 같은해 1월에는 일본의 주권을 어지럽힐 우려가 있는 ‘국가연합이론’을 금지하는 조치가 내려졌다. 이는 ‘동아신질서’의 구상이 담고 있던 민족협동체의 논리마저 부정되는 것을 의미했다. 註62)

이와 같은 일본 국내의 상황은 한국에도 영향을 주었다. 남차랑에 이어 조선총독으로 부임한 소기국소小磯國昭는 한국에서 논의되고 있던 내선일체론에 종지부를 찍는 시정방침을 내렸다. 소기국소는 내선일체가 국가적·사회적 대우를 전면적으로 즉시 또는 급진적으로 평등화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내선일체가 이상과 현실을 혼동하는 형식적 평등관의 수립과 내선상호의 정신적 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그것은 조선인을 황국신민으로서 육성하는 내용으로 하여 성립되었다고 밝힘으로써 내선일체를 둘러싼 논의는 사라져 버렸다. 註63)

이처럼 전시체제기하에 지식인들은 중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여 동아시아의 질서가 재편되고, 태평양전쟁에서도 일본이 승리하여 일본의 주도하에 세계질서도 재편될 것이라고 인식했다. 이러한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서 한국도 일정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국이 장래에 복리와 번영을 누릴 수 있다는 인식으로 나아갔다.

지식인들은 내선일체론의 근본원리와 현실문제를 둘러싸고 이견이 나타났다. 하지만 이것이 일본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침략전쟁에 대한 지식인들의 행위의 차이를 유발하지는 않았다. 나아가 내선일체론의 논쟁에서 초기에 조선어와 문화를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이광수가 이후에는 적극적으로 이를 없애야 한다는 주장으로 나아간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지식인을 중심으로 일본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침략전쟁을 적극적으로 지지·지원하는 활동을 펼쳤다.

〈허 종〉

[註 19] 이경훈 편역, 『춘원 이광수 친일문학전집』Ⅱ, 평민사, 1995, 274쪽 ; 이광수 지음(김원모·이경훈 편역), 『동포에 고함』, 철학과 현실사, 1997, 17~18쪽. ☞

[註 20] 현영섭, 『新生朝鮮の出發』, 大阪屋號書店, 1939, 31~32쪽. ☞

[註 21] 인정식, 「동아권의 경제적 성격과 조선의 지위」, 『삼천리』 13-1, 1941, 66~67쪽. ☞

[註 22] 이경훈 편역, 『춘원 이광수 친일문학전집』Ⅱ, 254쪽. ☞

[註 23] 임종국 편, 『친일논설선집』, 실천문학사, 1987, 123~131쪽. ☞

[註 24] 인정식, 「동아권의 경제적 성격과 조선의 지위」, 『삼천리』 13-1, 66~67쪽. ☞

[註 25] 현영섭, 「內鮮聯合か內鮮一體か」, 『內鮮一體』 2-1, 1941, 39쪽. ☞

[註 26] 이승엽, 「녹기연맹의 내선일체운동연구-조선인 참가자의 활동과 논리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00, 46~47쪽. ☞

[註 27] 김상태 편역, 『윤치호 일기』, 역사비평사, 2001, 43~44쪽. ☞

[註 28] 김상태 편역, 『윤치호 일기』, 476~489쪽. ☞

[註 29] 이경훈 편역, 『춘원 이광수 친일문학전집』Ⅱ, 428~429쪽. ☞

[註 30] 이준식, 「일제강점기 친일 지식인의 현실 인식-이광수의 경우-」, 『역사와 현실』 37, 한국역사연구회, 2000, 191~192쪽. ☞

[註 31] 『매일신보』 1941년 9월 4일자. ☞

[註 32] 튜런(Turan)인은 유럽인에 대척된 아시아인, 황색인을 말하는 것으로 유럽인의 지배에 대항하는 튜런인의 단결·각성운동이며, 발칸반도의 헝가리인·불가리아인·터키인들이 일으켰다. ☞

[註 33] 임종국 편, 『친일논설선집』, 123~131쪽. ☞

[註 34] 현영섭, 「‘內鮮一體’와 朝鮮人의 個性問題」, 『삼천리』 12-3, 1940, 38~40쪽. ☞

[註 35] 김상태 편역, 『윤치호 일기』, 36~37쪽. ☞

[註 36] 김상태 편역, 『윤치호 일기』, 446·460·475쪽. ☞

[註 37] 이광수, 「민족개조론」, 『개벽』 23, 1922, 45쪽 ; 이경훈 편역, 『춘원 이광수 친일문학전집』Ⅱ, 338~341쪽. ☞

[註 38] 김상태 편역, 『윤치호 일기』, 37쪽. ☞

[註 39] 이승엽, 「녹기연맹의 내선일체운동연구-조선인 참가자의 활동과 논리를 중심으로-」, 42쪽. ☞

[註 40] 현영섭, 『朝鮮人の進むべき道』, 녹기연맹, 1938, 74·87·112~114쪽. ☞

[註 41] 홍종욱, 「중일전쟁기(1937~1941) 조선 사회주의자들의 전향과 그 논리」, 『한국사론』 44, 서울대 국사학과, 2000, 169~171쪽. ☞

[註 42] 임종국 편, 『친일논설선집』, 89쪽. ☞

[註 43] 한국역사연구회, 『일제하 사회운동사 자료총서』 3, 1992. ☞

[註 44] 고등법원 검사국 사상부, 「支那事變に對する主義者の動靜に關する調査」, 『사상휘보』 13, 1937, 13~14쪽. ☞

[註 45] 홍종욱, 「중일전쟁기(1937~1941) 조선 사회주의자들의 전향과 그 논리」, 『한국사론』 44, 176쪽. ☞

[註 46] 이애숙, 「반파시즘 인민전선론」, 『일제하 지식인의 파시즘체제 인식과 대응』, 혜안, 2005, 368~369쪽. ☞

[註 47] 홍종욱, 「중일전쟁기(1937~1941) 조선 사회주의자들의 전향과 그 논리」, 『한국사론』 44, 183~190쪽. ☞

[註 48] 「前同友會員의 聲明書」, 『삼천리』 10-8, 1938, 25~28쪽. ☞

[註 49] 인정식, 「我等의 政治的 路線에 關해서 同志諸君에게 보내는 公開狀」, 『삼천리』 10-11, 1938, 50~51쪽. ☞

[註 50] 이광수 지음(김원모·이경훈 편역), 『동포에 告함』, 209~210쪽. ☞

[註 51] 『동아일보』 1938년 10월 27일자, 11월 1일자. ☞

[註 52] 현영섭, 『新生朝鮮の出發』, 13쪽. ☞

[註 53] 인정식, 「동아의 재편성과 조선인」, 『삼천리』 11-1, 1939, 54~64쪽. ☞

[註 54] 임종국 편, 『친일논설선집』, 113~115쪽. ☞

[註 55] 이광수 지음(김원모·이경훈 편역), 『동포에 告함』, 130~132쪽. ☞

[註 56] 임종국 편, 『친일논설선집』, 128~130쪽. ☞

[註 57] 장용경, 「일제 식민지기 인정식의 전향론」, 『한국사론』 49, 서울대 국사학과, 2003, 238~239쪽 ; 신주백, 「만주인식과 파시즘 국가론」, 『일제하 지식인의 파시즘체제 인식과 대응』, 혜안, 2005, 146~153쪽. ☞

[註 58] 「時局有志圓卓會議」, 『삼천리』 11-1, 1939, 36~46쪽. ☞

[註 59] W. G. 비즐리 지음(장인성 옮김), 『일본근현대사』, 을유문화사, 2004, 308~309쪽. ☞

[註 60] 리차드 H. 미첼 지음(김윤식 옮김), 『日帝의 思想統制』, 일지사, 1982, 224~225쪽. ☞

[註 61] 강재언, 『일본근대사』, 421쪽. ☞

[註 62] 홍종욱, 「중일전쟁기(1937~1941) 조선 사회주의자들의 전향과 그 논리」, 『한국사론』 44, 201~202쪽. ☞

[註 63] 宮田節子 저(이형랑 역), 『조선민중과 「황민화」정책』, 185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