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인석 [1842~1915]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
1895 충북 제천에서 거의, 의병장으로 활동○ 1905∼1908 일제에 대항, 의병항쟁을 격문으로 독려○ 1910 연해주 지역 13도의군
도총재 성명회 회장 |
|
|
|
|
노태준 [1911∼1970]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
1936 한국국민당 청년단 단장○ 1940 광복군 제1지대 간부○ 1944 광복군 제2지대 제2구대장○ 1945 국내정진군
제2지구대장 |
|
|
|
|
김병조 [1877~1948]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ㅇ
1919 민족대표 33인중 1인으로 독립선언서 발표임시의정원 의원, 임시정부 사료편찬위원ㅇ 1920 임시정부 선전위원회 이사ㅇ 1923
국민대표회의 비서장 |
|
|
|
|
이동녕 [1869∼1940]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
1906 만주 용정에 서선의숙 설립○ 1911 경학사, 신흥무관학교 설립○ 1919-1929 임시정부 의정원 의장 3차례 역임○ 1930
한국독립당 창당○ 1927-1940 임시.. |
|
|
|
|
양진여 [1862∼1910]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
1907 전남 광주에서 거의, 의병장으로 활동○ 1908∼1909 광주, 창평, 나주, 장성 등지에서 일본군과 교전○ 1910 피체되어 교형
순국 |
|
|
|
|
이종건 [1906∼1960]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
1931 한족동맹회에 가입 일제 밀정 주살○ 1931∼1933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 1942 광복군 제1지대 간부○ 1944
민족혁명당 감찰위원 |
|
|
|
|
김한종 [1883∼1921]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
1906 홍주의진에 종군하여 항일활동 ○ 1917∼1918 대한광복회 충청지부장으로친일 부호 처단 등 의열투쟁 전개 ○ 1921 사형
순국 |
|
|
|
|
홍범식 [1871∼1910]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1907∼1910
태인군수, 금산군수○1910 경술국치에 통분하여 순절 |
|
|
|
|
오성술 [1884∼1910]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
1907 용진산에서 거의김태원 의진에 참여, 간부로 활동○ 1908∼1909 의병장으로 광주·나주 등지에서 일본군과 교전, 부일배 처단○
1910 피체되어 사형·순.. |
|
|
|
|
이범윤 [1856∼1940] |
•
훈격 : 대통령장 / 서훈년도 : 대통령장 |
공적개요 |
○
1908∼09 노령 연추에서 창의회조직, 의병투쟁, 13도의군 창의군 총재○ 1911 노령 연해주의 권업회 총재 ○ 1919∼22 의군부,
대한독립군단 |
|
|
|
|
장태수 [1841~1910] |
•
훈격 : 독립장 / 서훈년도 : 독립장 |
공적개요 |
○1867∼95
양산군수, 동부승지 등 역임○1910 경술국치에 항거하여 단식 순국 |
|
|
|
|
김규식 [1881~1950] |
•
훈격 : 대한민국장 / 서훈년도 : 대한민국장 |
공적개요 |
○
1919 파리강화회의에 대표로 파견 독립외교활동, 임시정부 외무총장, 구미위원부 위원장, 학무총장 역임○ 1932∼1935 임시정부 국무위원○
1935 조선민족혁명.. |
|
|